사회 사회일반

日 “위안부 문제, 역사 사실로 맡겨야…공동연구는 의미”

외무성 아주국장 “곧 공동교과서까지 만들수 있을진 모르겠다”

“아베-김정은 만날 움직임 지금은 전혀 없다”

일본 외무성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외교 문제로 접근하기보다 역사 사실로 연구자들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면서 “보상 문제는 한일협정으로 최종 해결됐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지난 3일 일본 외무성 초청으로 도쿄를 찾은 한국 기자들과 만나 “역사 문제는 외교문제화하면 안 된다. 과거사 문제로 일본과 한국이 싸울 게 아니라 지금의 관계를 소중히 여겨서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하라 국장은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해 일본은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 아주 큰 고통을 주었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아베 내각도 역대 내각과 같은 인식”이라면서 “고노 담화와 관련해 위안부 관련자들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운 일을 당했고 그에 대해 가슴이 아프며 이 역시 (아베 총리는) 역대 총리와 같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 의회에서 과거사와 관련한 질문이 나왔을 때 아베 내각은 역대 내각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면서 “침략 및 식민지 지배에 관해 아베 내각이 그것을 부정하는 일은 결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최근 발견된 3·1운동 순국선열과 관동대학살 희생자, 강제징용 피해자 명부와 관련, “1965년 한일 협정에 나와 있는 그대로 한일간의 청구권 문제는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또 한중일 3국간 공동으로 역사교과서를 만들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제안에 대해 “한일, 중일, 한중일이 공동으로 연구해서 인식을 좁히는 것은 중요하다”면서도 “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밖에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대해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는 센카쿠 열도가 중국 것이라는 전제 아래 이뤄졌으며 이는 일본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 “특히 중국은 (기존 관행과 달리) 자국의 영공을 향해 비행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도 (통보)의무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한국, 일본, 미국이 공동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의 방공식별구역 확대 방침에 대해서는 “그런 중요한 문제를 가정적으로 답할 수 없다”면서 즉답을 피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위원장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만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일간 국교정상화가 있다면 모를까 지금은 전혀 그런 움직임이 없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