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수도권 중소형 매매값 하락세


거래 침체가 지속되면서 수도권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값도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번주부터 중부지방이 본격적인 장마권에 들어 거래는 더욱 한산해질 전망이다. 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대비 0.02% 하락했다. 수도권과 신도시도 -0.01%의 변동률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의 경우 여전히 강남ㆍ서초ㆍ송파 등 강남3구와 강동구를 중심으로 하락세가 깊었다. 거래 회복 기대감이 옅은데다 기준금리마저 인상돼 매수 문의가 더욱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강남(-0.05%) ▦강동(-0.04%) ▦송파(-0.04%) ▦강서(-0.04%) ▦양천(-0.03%) ▦영등포(-0.03%) ▦마포(-0.02%) ▦서초(-0.01%) 등이 하락했다.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보합세를 보였다. 강남구에서는 대치동 선경1,2차 중소형 주택의 매수세가 줄어들며 1주간 3,000만원 가량 시세가 하락했다. 송파구 역시 가락시영 1,2차 등 재건축 아파트가 하락세를 주도한 가운데 잠실동 리센츠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매수세마저 줄어들어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신도시에서는 ▦일산(-0.03%) ▦분당(-0.01%)이 하락했고 ▦산본(0.02%) ▦평촌(0.01%)은 소폭 상승했다. 거래가 많지 않아 가격 변동은 크지 않았다. 일산 후곡마을, 주엽동 문촌마을 위주 중대형의 매수세가 줄어 주간 500만원~1,000만원 정도 가격이 내렸다. 수도권도 거래 관망으로 가격 변동이 크지 않은 가운데 과천 지역이 5주째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역별로 ▦과천(-0.06%) ▦구리(-0.04%) ▦의왕(-0.03%) ▦용인(-0.02%) ▦의정부(-0.02%) ▦광주(-0.02%) 순으로 하락세가 깊었다. 과천 중앙동 주공10단지와 별양동 래미안슈르가 주간 500만~1000만원 가량 내렸다. 용인에서도 거래 침체로 풍덕천동 진산마을삼성래미안5차의 아파트값이 1,000만~3,500만원 가량 내렸다. 전세 시장은 일부 지역의 상승 움직임이 지속됐다. 지역별로 ▦서울 0.03% ▦신도시 0.04% ▦수도권 0.02%의 변동률을 보였다. 강남권 학군 및 신혼부부 이주 수요와 함께 입주 2년차 새 아파트 재계약이 이뤄진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이 이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