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사상 130일이 넘는 최장기 파업으로 서울 광화문 세종로가 시끄럽다. MBC파업과 관련해 최근 야당의원이 이순신 장군 동상 맞은편에서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는가 하면 건너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연일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이달 초 방통위가 MBC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김재우 이사장을 불러 파업해결을 위해 중재에 나서라고 요구했지만 체면만 구겼다. 김 이사장이 두 차례나 소환을 거부한 뒤 이뤄진 만남에서 방통위 상임위원들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대답만 들어야 했다.
방통위의 요구를 사실상 묵살한 방문진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정작 문제를 키우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한 것은 방통위다. 이계철 방통위원장은 인사청문회 당시부터 방송사 내부 노사 문제에는 관여할 수 없다며 파업사태를 일관되게 지켜만 봐왔기 때문이다. MBC사장이 방문진 이사회 추천으로 임명되고 총 9명의 방문진 이사를 방통위가 임명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방통위는 이번 사태의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장기 파업으로 가장 큰 불편을 겪는 쪽은 시청자들이다. 방통위를 비롯해 모두가 보편적 시청권 운운하지만 이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이해 당사자는 그 누구도 없다. 시청권이 볼모로 잡힌 와중에 반사이익을 얻는 쪽도 분명이 있다. 공영방송 파행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방황하는 시청자들을 쫓는 채널들이다. 종합편성채널(종편)이 0%대 시청률에 허덕이면서도 영업강도가 조금도 줄지 않았다는 평이 돌고 있는 것은 방송사의 파업이 단순한 내부 문제가 아님을 증명한다.
최근 김재철 MBC 사장이 안팎의 끊임없는 퇴진요구에도 불구하고 오는 2014년까지 임기를 반드시 채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만약 방송파행이 김 사장의 임기와 궤를 같이 한다면 표정관리 하는 방송사가 다만 지상파 경쟁사들뿐일까. 시중의 음모론을 굳이 끌어들이지 않아도 내후년이면 종편들이 현재 묶여 있는 지분 매각 제한에서 풀리는 시기와 일치한다.
이 방통위원장은 취임 초부터 1년도 안 되는 임기 동안 일을 만들기보다 마무리하는데 애쓰겠다고 공언했다. 우선 '종편 구하기'의혹으로까지 얽히고 있는 공영방송 파행을 끝맺는 게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