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려시대 건물터·조선시대 제방 발굴

낙동강권역 양산 4대강 사업 현장서

4대강살리기 사업을 위해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낙동강권역에서 고려시대 건물터와 조선시대 제방 등이 발굴됐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9일 경남 양산 물금읍 발굴 현장에서 지도위원회를 열어 "양산 물금리와 증산리 일원에서 고려시대의 건물지와 조선시대 제방 등이 발굴됐다"고 밝혔다. 이 지역 200만㎡ 부지에서 하천 둔치 생태공원과 주민 편의시설 조성을 목적으로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등 4개 문화재조사 전문기관이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9월 말부터 발굴되기 시작한 증산리 유물산포지 구간에서는 신라 말, 고려 초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문화층이 발견돼 다수의 유구와 유물이 나왔다. 특히 주목되는 유구는 돌로 지반을 다지고 흙으로 덮은 토석혼축(土石混築) 제방이다. 잦은 홍수피해와 개ㆍ보수로 잔존 상태는 구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낙동강이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총 725m가 확인됐다. 이 제방에 대해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조선시대 양산군 관련 문헌사료와 고지도에 기록된 '황산언(黃山堰)'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정조실록'에 따르면 정조 16년(1792년)에 양산군수 성종인의 상소에서 '양산 지역에 분포하는 제언(堤堰ㆍ댐)은 읍언(邑堰), 황산언(黃山堰), 도언(島堰) 3개소가 있으며 수해로 피해를 입었다'는 내용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제방은 지난 1792년 이전에 축조됐음을 알 수 있다. 경상도가 보유한 '여지도서(與地圖書)', 고지도인 '양산군읍지도(梁山郡邑地圖)' 등에도 같은 위치에 '황산언'이 표시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