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가뭄, 함께 손잡을 때 해결된다-고윤화 기상청장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극심한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가뭄으로 대기오염이 심해져 미세먼지가 크게 증가했고 산불이 빠르게 확산돼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또 물값이 급등하면서 LA 한인 타운의 사우나 업주들은 이용료를 올려야 할지 고민에 빠졌고 세계 곡창지대로 명성을 날리던 캘리포니아 농업 산업은 아몬드·땅콩·포도 등의 생산량이 줄어들어 농작물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물 사용량의 25%를 줄이는 행정 명령을 발동해 기초자치단체와 공공시설의 물 사용량을 의무적으로 제한하고 각 가정에서는 잔디를 없애도록 할 정도로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지난해 강수량이 평년(30년 평균)에 비해 300~400㎜적었고 올해 5월까지 서울·경기와 강원도는 평년 대비 50% 내외밖에 오지 않아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양강댐 저수율이 8일 현재 154.12m로 역대 최저치인 151.93m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사계절 가뭄이 이슈가 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연중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처지가 됐다. 제주지역은 2013년 여름철 폭염과 함께 물 부족 현상이 겹쳐 9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어 감귤과 당근 생산에 큰 차질을 빚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잇따르는 가뭄으로 인해 가뭄 관련 정보 요구가 증가하고 종합적인 가뭄정보 생산과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기상청은 가뭄을 비롯한 수문기상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체제를 정비하고 가뭄에 관한 정책과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또 올해 5월부터 가뭄 관련 지자체와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가뭄전망을 포함한 다양한 가뭄정보를 시범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해 정식 서비스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민이 기대하는 현장 맞춤형 가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상뿐만 아니라 수자원·농업·사회·경제 분야 등 각 분야별 가뭄정보를 종합해 감시하고 전망하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가뭄 서비스는 요원하다. 가뭄 관련 관계부처와 유관기관에서 분야별로 생산하고 있는 가뭄정보를 한곳에 모아 종합적인 정보를 일반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 간 유기적인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캘리포니아주가 최악의 가뭄을 겪으며 국민이 가장 신뢰했던 자료는 국립가뭄경감센터(NDMC)에서 발표하는 가뭄정보였다. 우리나라도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를 벤치마킹해 범정부적인 가뭄 대응체계를 만드는 노력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요즘도 가뭄 피해를 겪고 있는 일부 지자체에서는 단비를 기원하는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용수 공급 등 가뭄 사후대책은 활발하지만 가뭄을 사전에 대비하는 가뭄정보 생산은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현장 맞춤형 가뭄정보를 서비스하는 범부처 간 협업의 발걸음을 내딛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