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학연 기술이전

국내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을 기업에 이전하는 것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단기간에 적은 비용으로 제공하고 기술의 국산화를 앞당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R&D) 투자여건이 어려운 중소기업에게는 기술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토대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 각국은 기술이전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ETRI 등 출연연구기관과 포항공대, KAIST 등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 비해 국내 기술의 이전 실적이 크게 뒤떨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지난해 국공립대학의 941개 기술 가운데 17건, 4,500여개의 사립대 기술 가운데 241건 만이 기업에 이전되었다. 힘들게 개발된 기술이 사장되고 있는 셈인데, 이는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크나큰 손실이다. 현재 많은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기술 이전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인력과 예산부족으로 기술 관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기업들이 대학이 보유한 특허나 기술을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기업들이 대학이나 연구소에 무슨 기술이 있는지 몰라서 못 사가는 원인이 크다는 얘기다. 따라서 산,학,연을 아우르는 범 국가적인 기술 이전 시스템을 구축해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만큼 대학이나 출연연 등의 연구기관에 흩어져 있는 기술들을 한 곳에 모으는 시스템을 갖추어 기술이전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산학연 간에 원활한 기술교류는 물론, 윈윈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술이전에 대한 획기적인 인센티브 시스템, 기술이전 관련 전문인력 육성 등 기술이전에 대한 법, 제도적인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일에 국회와 정부가 합심하여 국가와 국민경제의 미래를 그려가는 모습을 국민들은 간절히 바란다. 지금 우리 기업들은 저비용 생산구조를 갖춘 후발 개도국의 추격과 선진국의 기술이전의 기피 및 비싼 기술료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때 산학연 간의 기술이전 활성화는 기업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이고, 국가 R&D정책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서도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다. <김광호 포스데이타 사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