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임금 줄여 해고 막자"

공공·민간 불경기 맞아 '일자리 나누기' 잇따라

미국에서 불경기를 맞아 직원을 정리 해고하는 대신 임금을 삭감해서 버티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직장을 잃는 것보다는 임금이 줄어드는 것이 직장이나 근로자 모두에게 낫다는 판단 하에 '미국판 일자리 나누기'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경기침체를 헤쳐나가기 위해 주정부나 지방정부, 민간기업 할 것 없이 임금을 줄이는 곳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정확히 얼마나 많은 곳에서 임금삭감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통계는 없지만 공공 및 민간 부문을 막론하고 점차 많은 곳에서 임금삭감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공공부문의 경우 임금 동결은 종종 있었지만 임금삭감 사례는 좀처럼 전례를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통계보고서에 따르면 6월 전체 근로자들의 임금 규모는 근로시간 감소에 따라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임금도 금융위기가 시작된 때에 비해 불과 소폭 상승했다.

관련기사



노동부 통계에서는 2008년 경기침체가 시작된 뒤에도 임금은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인상돼 왔지만, 최근 18개월 동안은 이전 수준에서 횡보한 것이 확인됐다.

전미도시연맹(NLC) 조사에 따르면 미 전역 도시의 51%가 공무원 임금을 동결 또는 삭감했다고 답했으며 22%는 임금이나 복지혜택을 줄이는 방향으로 임금협상을 개정했다고 말했다.

공공부문의 임금삭감은 재정부족에 시달리는 주 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주지사나 시장이 공무원 노조에 대해 임금삭감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직원 해고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역설한 결과다.

신문에 따르면 뉴멕시코주(州) 앨버커키시는 6,000명의 시 공무원 임금을 평균 1.6% 삭감했다. 뉴욕주의 데이비드 패터슨 주지사도 대부분의 주 공무원 임금을 4%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 버몬트 주방위군도 3%의 임금삭감에 동의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일부 도시 교사들이 임금삭감을 수용했다.

지난 80년대 초반 불경기 때 임금삭감을 이미 경험한 민간기업의 경우 이같은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웨스틴 호텔의 경우 노사간의 임금협상이 결렬된 이후 임금을 20%나 줄였다. 제너럴 모터스(GM)는 신입사원들에게 기존 근로자의 절반 수준인 시간당 14달러를 주기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