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A로 가는 길] 서강대학교

해외 복수학위 도입 확대… "세계속으로"

서강대 경영대(학원) 건물인 마테오관. 서강대 MBA는 다양한 국제교류로 국제화 부문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서창적 원장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MBA)은 국제화 부문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쟁력을 쌓아나가고 있다. 서강대 MBA는 복수학위(Dual Degree) 제도를 적극 도입해 국내 MBA 중 가장 많은 5개 대학과 협정을 맺는 등 현재 세 개의 대륙에 걸쳐 국제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복수학위 제도에 따라 주간 MBA 학생들은 본교에서 1년 동안 필수과정을 수강하고 2년째 과정을 미국 미네소타대 카슨스쿨, 일리노이대, 플로리다대, SUNY버팔로 등 해외대학에서 수료해 복수학위를 받을 수 있다. 복수학위 이외에도 세계 14개국에 걸쳐 총 24개의 학교와 교환협정을 맺고 있어 매년 세계의 유수 대학 MBA 학생들이 서강대를 방문하고 서강대 MBA 재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 파견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두뇌한국21(BK21) 선발에서 서강대는 '국제화' 부문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함께 서강대 MBA는 국내 주요 MBA 중 유일하게 BK21과 세계수준 연구 중심대학(WCU) 사업에 동시 선정됐다. 지난해 4월 WCU 서비스 시스템 경영공학과로 선정됨에 따라 서강대는 해외 우수 교수 6명을 임명해 올해부터 새로운 석사과정을 개설한다. 서강대 MBA는 주간과정과 야간과정으로 나뉜다. 주간과정인 SIMBA은 인턴십과 MBA교과 수강을 결합한 2년 풀타임 과정인 AㆍB트랙, 1년을 풀타임으로 듣고 나머지 4개월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수강하는 C트랙, 서강대에서 1년을 수강하고 나머지 1년을 외국 자매대학에서 수강해 복수학위를 취득하는 D트랙으로 구분된다. 또한 3개 트랙별로 4개 전공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야간 과정인 ProMBA는 지난 28년간 직장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각자 전문 분야에서 프로페셔널한 전문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왔다. 지난 1980년 1기생을 모집한 이래 현재까지 2,700여명의 우수한 졸업생들을 배출한 서강대의 간판 MBA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서강대만의 엄격한 학사관리가 높게 평가를 받아 2010년도 상반기 ProMBA 입학 경쟁률은 8대1이었다. 이밖에도 기업 중견간부를 대상으로 하는 주말과정인 SEMBA가 있다. 지난 3년간 직장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 중견간부 및 중소기업의 이사, 대표이사 등 교육생이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프로페셔널한 전문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제공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