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옥석 가리기' 내달부터 본격화

은행, 신용액 500억이상 대기업등 부실여부 조사<br>6월까지 선정…불합격 판정땐 재무구조개선 약정

금융위기가 진정되면서 채권단 중심의 상시 구조조정체제로 전환된 가운데 오는 4월부터 기업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된다. 2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권은 지난해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4월부터 정기 신용위험평가에 들어가 6월까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벌일 예정이다. 특히 유동성 위기를 겪는 건설ㆍ조선업종이 주요 구조조정 대상이다. 대기업그룹(주채무계열)별로도 재무구조를 평가해 '불합격' 판정을 받은 그룹을 중심으로 5월 말까지 재무개선약정(MOU)을 체결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신용위험평가를 해야 하고 500억원 이하 중소기업은 은행들이 자율적으로 평가하게 된다"며 "6월 말까지 구조조정 대상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용위험평가 대상 대기업은 지난해 1,400여곳에서 올해는 1,500여곳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채권은행은 영업실적과 현금흐름 등을 고려해 부실화 우려가 있는 세부평가 대상을 선정하는 기본평가를 4월 말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5~6월에는 세부평가 대상 업체를 대상으로 부실징후 기업에 해당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A(정상), B(일시적 유동성 부족), C(워크아웃), D(법정관리)로 구분하게 된다. 특히 채권단은 최근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ㆍ조선사를 우선 구조조정할 예정이다. 금감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하반기 중 예상되는 출구전략 시행에 앞서 불확실 요인을 없애기 위해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업종부터 우선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을 차지하는 주채무계열의 재무구조 평가가 4월부터 시작된다. 채권은행은 불합격 판정을 받는 그룹을 대상으로 5월 말까지 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45개 주채무계열 중 10곳이 채권단과 MOU를 맺어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채권단은 지난해 부채비율을 가장 중요한 구조조정 기준으로 삼았으나 지나치게 획일적이라는 지적에 따라 올해는 현금흐름을 비롯한 유동성 지표를 추가하는 등 평가기준을 보완했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재무안전성과 현금흐름ㆍ유동성 등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재무안전성은 총차입금과 자기자본비율을, 현금흐름은 EBITDA(현금창출능력)와 총차입금, 유동성은 현금성 자산과 유동성 부채를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4월부터 중소기업 구조조정도 본격화된다. 기촉법 적용 대상이 아닌 중소기업의 경우 은행마다 평가기준이나 대상이 달라 금융당국은 4월 중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표준화'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지난해 하반기 세 차례에 걸친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때는 10억원 이상 외감법인과 30억원 이상 비외감법인 3만3,000곳이 평가 대상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