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통신] 거장베리만의 '믿음'

인간과 신앙의 의미 되새겨


작품을 통해 고독과 도덕과 믿음등 실존적 문제에 대해 물음을 던졌던 영혼의 탐구자 잉그마르 베리만의 '믿음' 3부작을 부활절이 지나고 다시 봤다. 믿음과 의심의 치열한 대결을 그린 세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신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해 몸부림치는 영혼의 절규다. 베리만이 신의 존재를 회의한 이유는 어렸을 때 엄격하고 보수적인 목사였던 아버지로부터 받은 육체적ㆍ정신적 학대와 교회 안팎에서 다른 아버지의 위선적 행동 때문이었다. 그는 8세 때 믿음을 잃어버렸다고 고백한 바 있다. 종교적 분위기에서 자란 베리만은 3부작 중 마지막 편인 '침묵'을 만든 40대 중반에 가서야 비로소 아버지로부터 받았던 컴플렉스라고도 할 수 있는 종교적 짐을 내려 놓을 수가 있었다. 세 편은 모두 인물이나 대화가 절제됐고 시간도 제일 긴 것이 하루 반이다. 그리고 배우들도 모두 베리만 영화의 단골 출연자들이다. 고린도전서의 구절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에서 제목을 따온 제 1편 '거울을 통해 희미하게(Through a Glass Darkly 1961)'는 성경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신이 확실히 보이지를 않아 몸부림치며 괴로워하는 4인 가족의 얘기다. 흥미로운 사실은 4인 중 한 사람인 정신병을 앓는 카린만이 신과 소통한다는 점이다. 영화는 끊임 없이 신의 존재의 증거를 요구하고 있는데 끝에 가서 주인공인 작가는 '신은 사랑'이라고 그 요구에 답한다. 그러나 이런 희망은 마치 거울로 보는 것처럼 희미하다. 세 편 중 가장 혹독하게 신의 존재를 회의하고 그 존재의 증거를 강요하다시피 하는 것이 '겨울 빛(Winter Light 1962ㆍ사진)'이다. 마지막 편 '침묵(Silence 1963)'은 현대사회 속 인간의 소외감과 의사불통과 고독 그리고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을 다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