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업계­삼성 갈등 장기화 우려/확산되는 「보고서파문」 어디로 가나

◎노동계 등 「규탄」 가세·차업계 공조 강화/감정상한 삼성측선 “법대로” 배수의 진/“경영진 결단 있어야 조기해결”엔 공감「삼성보고서 파문」이 기아­삼성의 싸움에서 삼성을 놓고 기존업체, 노동계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의 향방과 결과는 이제 정부·재계·국민적 관심사가 됐다. 특히 17일 자동차협회가 기존업계의 공동문제로 공식선언하면서 삼성의 공개사과를 재촉구하고 삼성은 「법적대응 불사」로 팽팽하게 맞서면서 긴장이 더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갈등이 심화되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분석은 우선 기존업계와 계열사에 이어 노동계와 부품업체들이 본격적인 「삼성규탄」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또 정부와 삼성이 이번 사태의 종점으로 보는 검찰의 조사결과에 대해 기존업체들은 『삼성의 사과가 없는한 어떤 조치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포경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검찰의 조사결과는 삼성에 유리하게 나올 것』이라고 말한다. 삼성의 공식사과가 나올 때까지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강도를 높여가면서 삼성의 도덕성에 상처를 가하겠다는 복안이다. 일부기업에서는 삼성의 대응에 맞춰 ▲진입과정에서의 정경유착 ▲진출당시 각서 준수여부와 정부의 무준수시 대책 등 초강수도 고려중이라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자동차업계의 공조체제가 공고해지고 있는 것도 사태장기화의 한 요인. 회장단은 지난 3월 경쟁사 공장방문에 이어 이번 사태가 터지자 즉각 비상회의를 소집, 이달들어서만 3차례나 모였다. 다음달 초에는 회장단 골프회동도 예정돼 있다. 「끝까지 함께 가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삼성은 과거와 전혀 다른 대응으로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삼성은 이번 사태로 그동안 쌓아온 도덕성에 상처를 입고 노동계와 부품업체로 규탄이 확산될 경우 그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그렇지만 삼성의 입장은 「법대로」다. 검찰의 조사가 나오면 거기에 따르겠다며 그전에 공식사과는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전에없이 강경하다. 여기에는 득실에 상관없이 이제와서 물러설수 없다는 계산과 함께 회장단의 움직임에 대한 그룹경영진과 임직원들의 감정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그룹의 한 관계자는 『기존업체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삼성의 자동차사업 참여는 잘못이다」 「삼성이 어려우면 우리가 인수하겠다」는 등 태생론을 들고 나오는 등 이번 사태와 무관한 문제를 거론하는데 대해 매우 불쾌해 하는게 그룹의 분위기다』고 말했다. 또 이번 기회에 자동차산업은 어떤 형태로든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산시키는 한편 공식사과를 할 경우 지난 94년 이건희 회장이 각서까지 쓰면서 진출한 자동차사업 전반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과 기존업계의 대결구도는 삼성의 상용차진출, 승용차진출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따라서 서로 「조기해결을 바란다」지만 최고경영진의 결단없이는 조기해결이 난망하다는게 공통된 입장이다.<정승량 기자> ◎양측 입장차이/“중간 간부가 만든 참고자료 불과”/“의도적 유포로 타업체 음해 시도” 양측의 갈등이 심화되는 것은 이번 사태에 대한 기본인식의 차이가 가장 큰 이유다. 삼성은 이번 파문에서 보고서 내용보다 유포과정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삼성은 『중간간부(과장)가 개인적으로 만든 「참고자료」로 상부에 보고도 안된 것』이라는 입장. 즉 「유포책임」은 없다는 것. 삼성은 기아가 검찰에 조사를 의뢰한 내용이 성립되려면 보고서 자체보다 「의도적 유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존업체들은 『타사를 음해한 보고서를 만들었고 이를 다른 업체사람에게 전달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는 주장이다. 즉 이를 「개인자료」라고 주장하는 삼성의 논리는 비현실적이라는 것. 간부인 과장이 개인적 관심으로 이런 민감한 자료를 만든다는게 일반적인 회사의 관행상 납득이 안가며 자료를 만든 사람이 삼성의 직원인 이상 회사측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박원배 기자>

관련기사



박원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