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국내대학, 아시아지역 허브로 육성"

아·태 국제교육협회 조직위원장 이두희 고려대 경영대 교수

이두희(47ㆍ대외협력처장)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외국에 가보면 국내 대학은 실제보다 훨씬 저평가되고 인지도도 낮습니다. 이번 아시아ㆍ태평양 국제교육협회 설립을 계기로 국내대학의 국제화는 물론 영향력이 한단계 상승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아시아 지역 대학들의 도약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미국의 국제교육자협회(NAFSA)와 유럽의 국제교육협회(EAIE)에 이어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도 대학간의 활발한 학생교류를 위한 ‘아시아ㆍ태평양 국제교육협회(APAIE)’가 설립된다. 이달 초 호주의 그리피스대, 중국 인민대, 일본 와세다대, 싱가포르 국립대 등 아태 지역 13개 대학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고려대에서 열린 APAIE 설립위원회 회의에서 조직위원장으로 선출된 이두희(47ㆍ대외협력처장)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13일 “아시아 내 수십개 대학간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은 처음이라 어깨가 무겁다”며 “하지만 국내대학이 아시아 지역의 허브가 돼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긍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사실 APAIE 설립은 이 교수의 ‘작품’이나 다름없다. 이 교수가 아이디어를 내고 외국 대학의 협조를 구한 뒤 회의까지 마련하는 등 줄곧 협회설립을 주도해왔다. 조직위원장을 맡은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학홍보와 제휴를 위해 매년 한번씩 열리는 NAFSA 및 EAIE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가했습니다. 성과도 어느 정도 거뒀지요. 하지만 그들의 잔치에 변방의 대학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는 어렵더군요. 그동안 한국대학들이 국제화보다는 국내경쟁에 몰두해 인지도가 낮은 탓도 있겠지만 아시아 지역 내 대학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줄 만한 단체가 없다는 점도 문제라고 느꼈습니다. 일본이나 홍콩 관계자들도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어서 의기투합하게 됐죠.” 이 교수는 특히 국내 대학이 APAIE 설립을 앞장서 이끌고 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회장은 회원국마다 번갈아 맡겠지만 협회 본부는 고려대에 설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협회의 모든 업무와 일정을 한국이 관장하는 것으로 수십개 아시아 대학의 센터허브가 된다는 의미죠. 10여년 전 네널란드의 암스테르담대학이 본부를 대학 안에 두며 EAIE 설립을 주도, 지금도 유럽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내년 10월 고려대에서 제1회 APAIE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라는 그는 “앞으로 아시아 지역 교육시장간에 활발한 학생ㆍ학술교류의 장을 마련하겠다”며 “회원 수를 늘리는 한편 미국 및 유럽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세계교육축제로 만들어보겠다”고 다짐했다.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온 이 교수는 미 위스콘신대에서 경영학 석사, 미시간주립대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90년부터 고려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또 한국소비문화학회장을 역임했으며 내년엔 한국광고학회 회장을 맡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