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원, 은행들에 “中企지원 적극 나서달라”

기술력 갖춘 중소법인 지원 늘려라<br>가계부채 부담완화 노력도 당부

금융감독원이 은행권에 중소기업 지원 강화와 가계부채 관리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

금융감독원은 28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주재성 부원장 주재로 18개 은행 수석부행장들과 신년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 자금중개기능 강화와 가계부채 연착륙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주 부원장은 “우량 중소기업과 담보가 있는 개인 사업자에만 대출이 편중돼선 안 된다”면서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중소법인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자금을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국내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증가 목표액인 30조8,000억원을 초과 달성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이다. 금감원은 은행별 중소기업대출 목표 대비 실적을 정기적으로 살피고 부진 은행에 대해서는 지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가계부채 문제 해결에도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가계부채 축소 과정에서 부실차주가 급증하지 않도록 상환부담을 완화하고 채무조정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를 위해 대출만기 연장시 채권 보전에 문제가 없으면 무리한 상환요구를 자제하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초과분에 대해선 장기분할상환방식으로 바꾸라고 지도했다. 이와 함께 ▦자체 프리워크아웃 확대 ▦10%대 대출상품 개발 ▦담보물매매중개지원제도 활성화 ▦하우스푸어 지원책 자율추진 등 취약계층에 대한 다각적인 채무조정 지원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계기업에 대한 신속한 정리와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요구했다. 은행들이 기업 신용위험평가를 강화해 생존가능성이 적은 한계기업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하라고 권고했다. 신용위험평가 시 영업현금흐름∙이자보상배율 등 재무상태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파이낸싱(PF)∙주택사업비중∙부채비율 등 잠재적인 위험요인까지 감안할 것을 주문했다.

반면 회생가능성은 크지만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기업에 대해서는 주채권은행이 책임지고 정상화를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서민우 기자 ingaghi@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