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일랜드, 재정긴축 모범생으로

수출 늘고 GDP도 증가… 경기회복 '청신호'


"아일랜드 경제는 거의 위기에서 탈출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지난해말 국제통화기금(IMF) 등으로부터 850억유로 규모의 구제금융을 받았던 아일랜드가 불과 1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유럽 재정긴축의 모범생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 아일랜드는 올들어 9월말까지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4% 상승했고 2ㆍ4분기 국내총생산(GDP)도 2.3%나 늘어났다. 지난 2009과 2010년에 걸쳐 GDP가 각각 9%, 0.4% 줄어들었던 점을 감안하면 경제 전반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이처럼 경제가 좋아지자 글로벌 기업들의 진출도 잇따르고 있다. 구글은 1억유로를 투입해 아일랜드에 유럽 운영본부를 세웠으며 페이스북도 더블린에 유럽지역 허브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 상반기 아일랜드에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는 300억달러 규모로 독일과 프랑스를 합친 것보다 많다. 경제가 안정되면서 국채 값도 상승세(국채금리 하락)를 나타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7월 15.51%를 기록했던 10년물 국채 금리는 5일 현재 9.13%까지 떨어졌다.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의 투션 캐이 교수는 "아일랜드 정부가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정확히 수행해 냈다"고 말했다. 아일랜드 경제가 빠르게 회복세를 보인 비결로는 고강도 긴축정책과 수출시장 확대 등이 꼽힌다. 정부가 직접 나서 허리띠를 졸라 매면서 시장의 신뢰가 어느 정도 회복됐고 산업 체질도 수출 주도형 성장으로 개선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강도 긴축이 아일랜드 경제에 장기적으로 독이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공공부문 노동자의 임금을 20%나 깎으면서 지난 10월 소매판매량은 전년 대비 3.8%나 떨어졌고 14%를 넘긴 실업률을 견디다 못해 올해에만 4만여 명이 고향을 떠나 해외로 이주했다. 수출이 늘어나는 것에 비해 내수는 쪼그라드는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아일랜드 정부는 내년 38억유로 규모의 추가 증세와 복지 감축을 추진하고 있어 국민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 엔다 케니 아일랜드 총리는 "앞으로 380억유로의 재정 적자를 추가로 줄여야 한다"며 "국민들이 앞으로도 고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