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돈이 깨끗해지고 있다

구겨진 돈·찢어진 돈 많이 줄어…1만원짜리가 제일 깨끗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지폐 가운데 심하게 손상되거나 오염된 지폐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5일부터 30일까지 유통 지폐를 표본조사한 결과 재사용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용권'의 비중이 78.0%로 나타나 지난해 조사때보다 3.6%포인트 개선됐다고 23일 밝혔다. `사용권' 비중은 지난 2001년 64.1%에서 2002년 73.0%, 2003년 74.4% 등으로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닳고 오염되고 심하게 접히거나 구겨진 `손상권'의 비중은 지난해 24.2%에서 올해는 20.9%로 낮아졌으며, 찢어지거나 테이프로 붙여 사용하는 등 심하게 손상된 `극손상권'의 비중도 1.4%에서 1.1%로 떨어졌다. 이처럼 유통 지폐의 청결도가 개선되고 있는 것은 신권 지폐 발행이 확대되고한은과 시중은행 등에서 자동정사시스템을 통해 손상권과 극손상권을 걸러내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권종별 사용권 적출비율은 ▲1만원권 89.1% ▲5천원권 71.5% ▲1천원권 72.3%로나타나 1만원권의 청결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5천원, 1천원권이 시중에서 소액거래와 거스름돈 계산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데다 금융기관의 화폐정리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점 때문에 해당 권종을 한은에 입금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