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폐목재, 땔감이 아니라 자원


전세계가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로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다. 각국은 온난화 방지를 위해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해 노력 중이다. 우리나라도 지난해부터 500㎿ 이상 전력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신재생 에너지 의무 할당제(RPS)'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관리공단이 발표한 2011년 신재생 에너지 보급 통계를 보면 수력 12.7%, 바이오 12.7%로 비중이 가장 높고 태양광 2.6%, 풍력 2.4%, 지열 0.6% 등은 여전히 부진하다. 이는 많은 비용이 투자되는 설비형 신재생 에너지보다는 값싼 연료형 신재생 에너지인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로 집중되고 있다는 얘기다.


목재재활용협회가 조사한 결과 폐목재를 잘게 파쇄해 만든 우드칩을 연료로 하는 민간 열병합발전소는 지난 3~4년 새 무려 20개소 이상 늘어 연간 우드칩 필요량이 120만톤을 넘어섰다. 게다가 현재 건설 중인 시설과 향후 계획까지 포함하면 수년 내에 연간 200만톤 이상의 우드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정부가 2016년부터 시행 예정인 신재생 열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HO)까지 감안하면 수백만 톤의 우드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하지만 우드칩 원료인 폐목재는 무한정 늘어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며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오히려 감소 중이다. 이로 인해 폐목재를 원료로 목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가뜩이나 부족한 원재료를 발전소로 빼앗기고 있다. 폐목재 발생량은 2009년 223만톤, 2010년 193만톤, 2011년 187만톤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결국 우드칩의 공급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생겨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들로 인해 폐목재를 원료로 목재제품을 제조하는 업체들은 심각한 생존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이제라도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에 대한 상한제를 도입하거나 한시적으로 바이오매스 발전소의 신규 허가와 예산 지원을 중단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또 재활용 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RPS 공급 인증가중치(REC) 재조정과 목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물질 재활용 의무 할당제 등의 제도 도입이 절실하다.

폐목재는 땔감으로 쓰기 이전에 물질로 순환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다. 버려지는 폐목재를 재활용하면 잘려나가는 나무는 줄어들고 그 사이에 나무가 자라 온실가스 흡수량을 높이는 진정한 지구온난화 방지의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