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들 가산금리 인하는 '찔끔'

주택담보대출 기준 코픽스 금리 또 오르는데…<br>잔액기준 코픽스 연동 대출… 가산금리는 되레 올리기도


주택담보대출의 지표금리인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ㆍ코픽스)가 연이어 상승하고 있다. 연내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점쳐지는데다 시중금리도 계속 오르고 있어 코픽스의 오름세는 꺾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이 최근 가산금리를 인하하고 있지만 그 폭이 제한적인데다 기준금리 인상에 상쇄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눈총을 사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15일 지난 2월 기준 코픽스가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3.63%, 잔액 기준으로 3.73%를 기록해 각각 전월 대비 0.16%포인트와 0.03%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CD금리 역시 14일 3.39%로 마감돼 연초(2,80%)보다 0.59%포인트나 오른 수준이다. 코픽스가 오른 것은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2.5%→2.75%) 여파로 시장금리와 예금금리가 동반 상승한 데 따른 것이라는 게 연합회 측 설명이다. 다만 잔액 기준 코픽스의 경우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에 비해 시장금리 변동 반영이 늦기 때문에 인상폭이 적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은행은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와 연동된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를 16일부터 0.43%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다만 최근 수요가 몰리고 있는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를 반대로 0.12%포인트 높였다. 이에 대해 국민은행 측은 "잔액기준 코픽스 연동 대출로의 고객편중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해당 가산금리를 올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은 금리인상 시기에 잔액 기준 코픽스보다 금리변동 위험이 큰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로 고객을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금융권의 지적이다. 기업은행은 12개월 변동금리의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를 15일부터 0.10%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반면 3개월 변동 금리의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10%포인트 올렸다. 그나마 다른 은행들은 가산금리 인하 여부를 망설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의 여신담당자는 "(은행도) 자금조달 원가 등의 비용부담이 있기 때문에 가산금리를 급격히 떨어뜨리는 것은 어렵다"고 난색을 표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