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美 신용등급 강등 이후 국내 주식·채권시장 어디로

"변동성 커질것" vs "제한적 충격"<br>투자심리 위축속 새 변수 추가… 他신평사 별다른 움직임 없어<br>"주식보다 채권시장 더 타격"… "선반영된 재료 영향 미미" 지적도


미국의 경기침체와 유럽 재정위기로 요동쳤던 국내 주식ㆍ채권시장이 미국이 국가신용등급 강등이라는 사상초유의 사태에 직면하면서 짙은 안개 속에 빠지게 됐다. 전문가들은 최근 급락장으로 투자심리가 극히 위축된 상황에서 새로운 변수가 추가되면서 단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정책공조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고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이미 예견돼 있었다는 점에서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대체로 지난 주말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미국 국가 신용등급 강등 결정이 단기적으로 국내 주식ㆍ채권시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 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지난 70년간 단 한번도 없었던 일 인데다 최근 주가가 급락하면서 투자심리가 극도로 악화돼 단기적인 충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옥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그 동안 시장참여자들 사이에서 설마 미국의 신용등급이 낮아지겠냐는 시각도 많았는데 그것이 실제 상황으로 나타나면서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특히 외국인들의 투자심리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결정에 따른 영향은 주식시장 보다 채권시장에 더 직접적으로 나타날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미국 국채의 절반 가까이를 중국ㆍ일본 등 해외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이탈할 경우 단기적으로 글로벌 채권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곽중보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신용등급 하락의 충격은 증시 보다는 채권시장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며 "중국ㆍ일본 등이 단기적으로 미국 국채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에 따라 국내 채권시장 상황도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앞으로 글로벌 정책 공조 속도에 따라 충격의 정도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또 중국의 추가긴축 가능성이 아직 크지 않고, 무디스, 피치 등 다른 신용평가사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충격을 완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오현석 삼성증권 연구원은 "신용등급 강등 자체가 이미 시장에 반영된 재료인 데다 무디스나 피치 등 다른 신용평가사들이 S&P의 결정을 따라가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지난 주말 ECB에서 이탈리아 국채를 매입하겠다고 나선 것도 증시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긍정요인 중 하나"라고 내다봤다. 김세중 신영증권 연구원도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이슈가 이미 우리나라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에 이미 반영됐다는 점과 지난 주말 미국 고용지표가 양호한 수준으로 발표됐다는 점은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요인들"이라며 "이번 주 중국 물가지수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온다면 증시도 어느 정도 회복 기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용등급 강등에 불구하고 미국 국채가 여전히 최고의 안전자산 가운데 하나인데다가 최근 안전자산 선호 현상 등 때문에 채권시장 불안도 장기화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었다. 윤여삼 대우증권 연구원은 "여전히 미국 국채를 대신할 안전자산은 없다"며 "이번 상황이 글로벌 국채 투매로까지 이어지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더군다나 현재로선 국내 채권을 매도할 이유도 없다"고 밝혔다. 증시전문가들은 최근 여러 글로벌 이슈의 혼재로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섣부른 대응 보단 당분간 증시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당장 이번 주만 하더라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옵션만기, 금통위, 중국 물가지수 발표 등 이슈가 잇따를 예정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주가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곽 연구원은 "각종 이슈들이 최근 한꺼번에 몰리면서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며 "당분간은 투자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