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 28조

총여신 7.6%달해 연말까지 10조 감축 필요자산관리공사를 통한 매입조치 등 정부의 거듭된 은행 부실채권 정리 작업에도 불구, 국내 일반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여전히 28조원에 달해 연말까지 10조원 안팎의 부실채를 추가 정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말 현재 국내 17개 일반은행의 '고정 이하' 부실채권 규모가 27조7,000억원에 달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은행권 총여신(364조원)의 7.6% 수준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의 31조9,000억원에 비해 4조2,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부실채권 비율도 지난해 말 8.9%에 비해서 1.3%포인트 떨어졌다고 강조했다. 고정 이하 부실채권액 가운데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순(純)고정 이하 여신비율은 총여신의 4.1%로 지난해 말의 4.5%에 비해 0.4%포인트 하락, 일반은행의 자산건전성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금감원은 덧붙였다. 부실채권 감소에도 불구, 정부가 연말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은행 부실채권 비율(5%ㆍ현 여신기준으로 18조2,000억원 규모)을 맞추기 위해서는 앞으로 9조5,000억원 규모를 추가 감축해야 하며 은행 여신 변화를 감안해도 10조원 안팎의 감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정부는 은행의 부실채권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 지난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적용되던 대손충당금 손비인정을 계속 유지해주었고 워크아웃 채권 정리 및 기업개선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법(CRV)을 제정하는 등 부실채 정리 촉진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