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구제역, 축산 선진화 계기로

구제역 발생으로 애써 키운 가축을 살처분ㆍ매몰하는 농가의 안타까움을 위로한다. 더불어 엄동설한에 방역작업에 종사하는 국민 모두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혼신의 노력으로 구제역을 조기 종식할 것을 약속 드리며 끝까지 협조해주실 것을 부탁 드린다. 아울러 현 시점에서 구제역 극복과 함께 앞으로 우리 축산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제시된다. 일부에서는 좁은 우리나라에서 소ㆍ돼지 등 가축을 기르지 말고 전량 외국에서 수입해 먹자고도 한다. 하지만 국민정서와 농촌현실, 식생활 패턴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어렵다.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 동안 소와 같이 생활해와 정서적 친근감이 있다. 그래서 우리 소에 '韓'자를 붙여 '한우(韓牛)'라고 부른다. 경제발전과 소득증가로 쇠고기 소비량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1970년 1.2㎏이었던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이 지난해는 8.1㎏으로 거의 7배 증가했다. 농업생산에서 축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40%나 돼 축산을 배제한 농촌경제 활성화는 어렵다. 인류학자 마빈 해리스는 "건전한 영양을 위해서는 동물성 식품이 식물성 식품보다 더 중요하다"고 했다. 인류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육류이므로 육류를 전혀 먹지 않고 살기 어려워 적정량의 섭취는 필요하다. 구제역을 막기 위해 국경검역 강화 등 정부의 강력한 대책도 필요하나 농가차원의 소독과 철저한 방역이 가장 중요하다. 공장형 축산과 밀집 사육 등 사육방식의 개선과 축산에 대한 인식변화도 요청된다. 향후 축산업 허가제, 해외여행시의 신고 및 소독 의무화, 질병관리 및 예찰 시스템 강화 등 가축질병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다. 전국의 소에 대해 출생부터 도축ㆍ가공ㆍ판매 등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ㆍ관리하는 이력추적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향후 이력추적제도를 더욱 보강하면 가축질병 예방에도 크게 도움될 것으로 확신한다. 또 농업 분야의 발달된 정보 기술은 비용절감과 생산성향상, 에너지 감소 등 많은 성과를 내고 있어 이러한 정보기술을 가축사육과 축산위생 및 식품안전에 확대 적용하면 가축질병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축사 내의 온ㆍ습도 관리, 환경제어, 사료급여, 이동경로 파악, 질병관리 등에 만전을 기하면 어느 나라보다 조기에 축산선진화를 기할 수 있다. 동물의 세계도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다. 구제역 파동을 계기로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상생축산'의 의미도 새기자. 첨단 생명과학시대에 한낱 동물질병 바이러스에 당하고 있기는 하나 구제역은 극복하지 못할 질병이 아니다. 구제역 위기를 맞아 절망하기보다는 우리 축산이 선진화되는 계기를 만들어나가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