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용 장식 완벽… 백제 금동신발 출토

나주 정촌 고분서 발굴

왕실 토착세력 하사품 추정

장신구 등 다수 유물도

나주 정촌고분 1호 돌방무덤에서 발견된 백제계 금동신발. 백제 왕실이 마한지역 토착세력에게 하사품으로 전달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금동신발은 거의 훼손 없이 완벽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당시 장식문화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사진제공=문화재청

마한의 토착세력이 백제왕실에서 받은 하사품으로 추정되는 금동 신발이 완벽한 형태로 출토돼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인접한 '정촌 고분'에 관한 발굴조사를 시행한 결과 완벽한 형태의 백제계 금동 신발을 비롯한 다수의 유물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관련기사



정촌 고분 발굴조사는 총 9기의 매장시설을 아우르는데 금동 신발이 출토된 1호 돌방무덤(석재로 방처럼 만든 무덤)은 최대 길이 485㎝에 너비 360㎝, 높이 310㎝로 현재까지 발견된 마한과 백제권의 초기 대형 돌방무덤 중 최대 규모다. 여기서 발견된 금동 신발은 길이 32㎝, 높이 9㎝, 너비 9.5㎝로 안쪽에 천이나 나무를 깔면 성인이 실제로 착용할 수도 있는 크기지만 소재나 장식 등을 따져보면 권력 과시용 위세품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발의 발등 부분에는 용 모양의 장식이, 발목 부분에는 금동판으로 된 덮개가 있고 신발 바닥에는 연꽃과 도깨비 문양이 뚫어 새기는 투조(透彫) 방식으로 장식돼 있다.

백제계 왕릉에서 주로 출토된 금동 신발은 백제왕이 영토를 확장한 후 토착 지배계급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하사한 유물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다. 거의 훼손 없이 완벽한 형태로 발견된 금동 신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고분에서는 이외에도 마구와 고리칼, 금제 장신구 등 가야·신라와의 교류를 짐작하게 하는 유물도 함께 출토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