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가정비코너] 엔진오일 관리요령

엔진오일은 차량관리항목에서 항상 첫번째로 꼽힐 정도로 중요하다. 보통 엔진오일은 다섯가지 기능을 한다. 먼저 기계를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는 감마작용, 두번째는 엔진내부에서 폭발시에 섭씨 2,000도이상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1차로 식혀주는 냉각작용이다. 세번째로 엔진오일은 기밀작용을 해 엔진 실린더 내부에서 압축행정을 할때 피스톤과의 틈새 메꿈을 하게 돼 압축을 좋게 한다. 그리고 엔진 소음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마지막으로 엔진오일은 공기중의 수분, 부식성 가스 등과 접촉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쇳가루와 산화물 탄화를 즉 타고 남은 카본을 씻어내는 세척작용을 한다. 엔진오일은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용도별로 보면 가솔린 엔진용 또는 디젤 엔진용으로 구분된다. 오일용기 옆에 붙어 있는 글씨를 유심히 보면 SG 혹은 SH라는 글씨가 있으며 이는 가솔린 엔진 오일이고 성능 등급도 SH급 정도면 고급인데 일반적으로 S뒤의 글씨가 알파벳의 뒷순일수록 고급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LPG차량은 가솔린과 동일하다. 교환주기는 출고후 최초 5,000KM에서 교환하고 1년에 2만KM 정도 운행할 경우 1만KM 마다 교환해야 한다. 물론 1년에 2만KM 정도 운행을 하지 않는 차량이라면 기간을 정해 1년에 2회정도 교환해 주면 된다. 엔진오일의 양은 평지에서 시동을 끄고 오일레벨 게이지를 넣어 흔적을 확인하는데 FULL과 LOW선 사이면 정상이며 그 F선과 L선사이는 약 1ℓ정도다. 부족하면 보충하되 너무 넘치면 엔진에 나쁜 영향을 줄수 있다. 엔진오일 교환할 때 오일필터는 매번 교환하되 에어크리너는 오염 여부를 확인한후 교환하는 것이 좋다. 출고후 2,000~3,000KM 때부터 엔진오일을 교환하고 에어크리너를 무조건 교환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낭비며 에어크리너는 공기로 불어 세척해서 2회이상 사용할수 있다./이광표과장(현대자동차 써비스기술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