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호주, 자원에 이어 식량 안보 챙기기.

외국인 투자 조사 방침..

호주가 식량 공급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자국 식품업체를 상대로 한 기업 매수및 합병(M&A)와 외국인 소유의 농지 등 외국인 투자에 대해 정밀 조사에 착수했다. 그 동안 호주 정부는 주로 천연자원 분야를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를 감시 해왔지만 최근 호주 곡물 기업이 외국 기업과 합병 후 상장 폐지 되는 등 후 폭풍이 만만치 않자 농업ㆍ식품 분야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23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빌 쇼튼 호주 재무차관은 “ 외국인의 투자가 우려할만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 최근 호주 농장과 식음료 업계에 대한 외국투자를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호주 정부는 호주 통계청과 농업연구개발공사등과 공조해. 내년 초부터 농업 종사자 수와 농지ㆍ 수자원 소유자 파악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조사는 식품업체에 대한 외국인 투자로 호주 국민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식량안전이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에서 비롯됐다. 지난 19일 호주 밀 수출업체 AWB는 캐나다 업체 아그리움과 합병된 뒤 상장 폐지된 것이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풍부한 식량 자원을 가지고 있는 호주 정부가 외국 투자를 마냥 거부할 수는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조 루드위그 농업장관은 ”외국인 투자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호주 경제 성장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호주 농업과 지역 커뮤니티에 필수적이다”라며 “호주의 식량 공급은 안전한 수준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호주 전체 농경지의 99%는 가족 경영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나머지 1%만 기업이 운영한다. 게다가 기업소유지 중 외국인이 직접 투자하는 경우는 0.1%에 불과해 아직까지 펀더멘탈이 탄탄하다는 평가다. WSJ는 호주 정부가 자국업체들을 보호해야 하면서도 외인 투자를 장려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졌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