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0대그룹 경기부진속 접대비 대폭 증가

삼성·LG·SK·한진·한화 두자릿수 늘어나

10대그룹이 올해 상반기 고유가와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영업환경이 어려워지자 실적향상을 위한 `고육책(苦肉策)'으로 접대비를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10대그룹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05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 LG, SK, 롯데, 한진, GS, 한화,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등의 올해 접대비는 작년 동기대비 두자릿수로 증가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의 접대비는 줄었다. 이번 통계는 10대그룹 내에서 접대비 내역을 밝힌 계열사들만을 대상으로 작성됐다. 삼성그룹은 올해 상반기 에스원의 접대비(교제비)가 13.5% 줄었지만 제일기획,제일모직, 호텔신라의 접대비가 16~37% 가량 급증, 총 접대비가 작년 동기 대비 28%증가했다. 삼성그룹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등 주요 계열사의 접대비 내역을밝히지 않았다. 현대자동차는 INI스틸의 접대비가 93.1% 급증했으나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등 2개 주축 계열사의 접대비가 감소해 전체로는 2.9% 줄었다. LG는 소비자를 직접 상대하는 업종인 LG생활건강의 접대비가 43.7% 급등한 것을비롯, LG화학 13.2%, LG석유화학 25.5%, LG생명과학 15.4% 등 계열사들의 접대비 규모가 전반적으로 커져 그룹전체 접대비도 17.0% 상승했다. SK그룹은 SK㈜(-27.6%)와 에스지위카스(-35.5%)의 접대비가 크게 줄었으나 동신제약(178.0%), 대한도시가스(39.5%) 등의 접대비가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평균 12.2% 늘었다. 롯데는 롯데제과(-11.1%)와 롯데칠성(-16.7%), 롯데미도파(-37.3%) 등 상당수계열사들이 접대비를 줄였으나 롯데삼강의 접대비가 무려 135.9% 증가하면서 전체접대비도 16.3% 많아졌다. 한진은 선박수주를 위해 국내외 해운업체들을 상대로 치열한 영업활동을 펼쳐야하는 한진중공업의 접대비가 111.5% 급등한 영향으로 전체 접대비 규모도 49.9% 증가, 10대그룹 중 가장 가파른 상승률을 기록했다. GS와 한화의 접대비는 각각 14.2%와 20.8% 증가했으며 현대중공업은 현대미포조선의 접대비가 크게 늘어나 평균 19.9%의 접대비 증가율을 나타냈다. 금호아시아나는 금호산업의 접대비가 24.2% 늘어나 전체 접대비 규모도 12.1%증가했다. 박석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접대비는 매출 규모를 키우기 위해 공격적으로 영업을 할 때 늘어난다"고 전제하고 "기업들은 상반기 경기침체 속에서도 접대비를 늘리며 적극적으로 영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 김세진 곽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