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수회복 불 지피자

이번 설엔 선물 주고받기 장려<br>"뇌물" 매도만 말고 미풍약속 되살려야…공직사회부터 확장 사회전반 확산필요

내수회복 불 지피자 이번 설엔 선물 주고받기 장려"뇌물" 매도만 말고 미풍양속 되살려야…공직사회부터 확장 사회전반 확산필요 • 정부 앞장 '드라이브' 기업·서민도 "환영" • 기업 올 설 선물 계획은 설을 맞아 가족이나 친지끼리 작은 선물을 주고받자는 캠페인이 서서히 확산되면서 백화점이나 할인점에서 선물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26일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특설매장을 찾은 고객들이 중저가 생필품 선물코너에서 선물을 고르고 있다. /이호재기자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이 불과 1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미풍양속을 되살리고 내수의 불씨를 지피기 위해 설 선물을 다시 주고받자는 움직임이 사회 각계각층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해찬 총리에 이어 박홍수 농림부 장관 등이 잇따라 선물문화의 부활을 독려하고 나섰고 정보통신부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부패방지위원회도 최근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며 긍정적인 선물문화를 설파하고 있다. 명절에 가족이나 친지끼리 정이 담긴 작은 선물을 주고받는 것은 우리의 오래된 미풍양속이었다. 섣달 그믐날 어려운 이웃이 던져놓은 복조리 값은 이유를 불문하고 내주는 것이 관례였으며 정월 초하루 아침 웃어른은 아이들에게 복주머니를 선물하며 한 해의 무사안녕을 빌었다. 그러나 공직자들의 부정부패를 막기 위해 벌였던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이 사회 전반에 자리잡으면서 선물은 으레 뇌물로 간주돼왔다. 여기에 기업의 윤리경영 바람까지 더해지면서 선물기피 현상은 신드롬이자 운동으로 급부상했다. 고위공직자나 기업체 사장이 선물을 받지 않는다고 발표하면 언론마다 대서특별하면서 청백리의 상징처럼 받들었다. 선물 주고받기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선물과 뇌물을 구분하는 선물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사과 한 개, 꽃 한 송이를 건네며 작은 마음을 주고받는 서양의 명절이나 최근 공직사회에서 장려하고 있는 3만원 이하의 농수산물 선물처럼 허례허식에 얽매이지 않고 작은 정성을 전하는 문화가 절실하다. 선물주고받기운동의 경제적 효과도 자못 크다. 우선 최근 들어 기지개를 켜고 있는 내수를 살리기 위한 도화선으로서도 필요하다. 설 선물 수요는 일부 업종의 경우 1년 매출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으며 백화점 등 유통업체도 소비심리에 불씨를 댕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들의 선물 주고받기는 지역 향토기업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한몫을 한다. 김문주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설 선물 문화가 부활돼도 내수회복에 당장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공직사회를 시작으로 선물이 오가게 되면 차츰 다른 곳까지 번져 소비심리가 풀리고 경기가 호전되는 차원의 ‘토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heewk@sed.co.kr 입력시간 : 2005-01-26 18:1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