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개혁의 의미도 모르는 사람이…"

주택금융공사는 지난 20일 지난 1년간의 경영 성과와 내년 계획을 발표한다면서 기자들을 불러모았다. 올해는 금융 공기업들의 방만경영에 대한 비난 여론이 어느 때보다 높았고 따라서 그 자리에서는 금융 공기업의 개혁과 경영 혁신 방안에 대한 질문이 자연스레 나왔다. 그 자리에 참석한 김경덕(金京德) 감사는 가히 아연실색할 발언을 늘어놓았다. 그는 “민간기업들의 치열함에 비해 금융 공기업들의 경영 행태는 너무 안이한 게 아니냐”는 질문에 “세상이 모두 치열할 필요가 있느냐”며 “개혁의 의미도 모르는 사람들이 개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고 오히려 역정을 냈다. 주택금융공사가 경영 혁신 방안으로 내걸었던 여성 채용 확대에 대해서도 김 감사의 발언은 엉뚱한 답변으로 화제를 다른 방향으로 돌렸다. 그는 “요즘 여기자들은 몇 년 정도나 근무하고 퇴사하느냐”며 직장 내 남녀 차별을 전제로 하는 듯한 발언을 거침없이 내뱉었다. 주택금융공사는 다른 금융 공기업들에 비해 규모가 작고 신생 조직이므로 국책은행에 대한 사회적 개혁 요구에서 빠져나갈 핑계 거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 소유 금융기관의 잘못된 경영을 감시하고 바른길로 가도록 인도해야 할 감사라는 지위의 고위간부가 감사원 감사 결과를 무시하고 일반 국민의 무지를 탓하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물론 간부 한 사람의 무심한 말 한마디로 공기업 간부들의 의식 수준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다. 그러나 감사라는 직위는 그 누구보다도 혁신의 당위성을 이해해야 할 입장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면 국민의 세금으로 운용되는 금융 공기업이 고액 연봉을 제공하면서 감사원 출신의 임원을 모실 필요가 있을까. 서민 주택금융을 책임지는 기관으로서 경영 효율성이 떨어지는 잘못된 관행을 고쳐나가도록 하는 것이 ‘고액 연봉’을 받는 감사 역할이 아닌가. 주택금융공사 감사의 이날 발언은 사적인 담화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마지못해 혁신을 외칠 뿐 내심 불만이 가득한 금융 공기업 임원들의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보여 마음이 씁쓸하다. ‘일단 여론의 뭇매를 피하고 보자’는 방만하고 안이한 금융 공기업의 현주소를 보는 것 같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