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황 교수 거취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 사실이 서울대조사위원회 1차 발표로 사실로 확인되면서 줄기세포 논란의 핵심인 황 교수의 향후거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황 교수는 여성 연구원의 난자제공을 둘러싼 생명윤리 공방과 줄기세포 진위를둘러싼 최근의 논란 와중에서도 일단 백의종군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추가적인 연구에 강한 집착을 보여왔다. 논문 조작이 드러나긴 했지만 줄기세포 분야에서 상당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만큼 과학계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속내를 드러낸 셈이다. 실제로 황 교수는 지난 11월 여성 연구원의 난자기증 문제로 생명윤리 논란이불거졌을 때에도 세계줄기세포 소장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등 제반 공직에서 사퇴를선언했을 당시 백의종군하며 연구에 전념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2005년 논문에 이어 2004년 논문, 영롱이, 스너피 등을 둘러싼 의혹이꼬리를 물면서 파문이 국내외로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비난여론이 제기되는 상황속에서 이제는 백의종군조차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할 경우 황교수가 교수직은 물론 과학계에서 물러나야 하는 강경한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당장 소장파 교수들과 생명윤리 관계자, 종교계들도 황 교수를 강도높게 압박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책임을 지지않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계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매우 민감하고도 심각한 사안인 만큼 구체적으로언급하긴 어렵다"면서 "황 교수 자신이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만 언급했다. 그러나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기에는 문제가 너무 확대된 것 같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 학계 등 일각에서는 논문 조작 등 매우 심대한 문제점이 드러났지만 황 교수가 그간 쌓아올린 연구성과도 적지 않다며 황 교수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황 교수가 `서울대산학협력재단' 명의로 이룬 특허 출원과 등록 등 그간이뤄놓은 연구실적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동정론을 제기하며 백의종군을 허용, 다시 한번 기회를 주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황 교수가 최악의 경우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서울대 교수직에서 물러나더라도 그의 기술력을 인정한 민간기업 연구소들이 또 한번의 기회를 부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황 교수는 사이언스 논문 조작 하나만으로도 학자로서나, 학문적으로나`사망선고'를 받은 데다 한국 과학계의 위상이 땅에 곤두박질친 점 등을 감안할 때황교수 본인이 이번 사태를 초래한 데 합당한 책임을 스스로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게 대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