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후순위채 만기 공포

하반기 1024억 만기 도래<br>당국은 차환발행 불허 방침


가뜩이나 앞날이 불투명한 저축은행들에 후순위 채권 만기 공포가 시작된다. 3일 금융감독 당국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저축은행들이 상환해야 하는 후순위채 2,014억원 중 만기가 올 하반기인 후순위채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1,024억원(50.8%, 7개 은행)인 것으로 집계됐다. 보통 5년 만기로 발행되는 후순위채는 자체 재원이 부족한 저축은행이 투자자 돈을 끌어들여 모자란 자본을 메우는 수단으로 쓰였다. 하지만 자본으로 인정받는 비율이 매년 20%씩 깎이고 만기 때 투자자에게 상환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당국은 만기가 돌아온 후순위채의 차환발행을 사실상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금융 당국 한 관계자는 "자본을 확충할 여력이 부족한 곳은 경영간섭을 감수하고 금융안정기금을 신청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고민은 커져가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불안해진 투자자들이 만기가 된 후순위채를 출자전환하는 데 동의하겠느냐"고 말했다. 정기예금 만기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충당금도 걱정이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16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22조원 중 41%에 달하는 약 9조원의 만기가 다음달부터 시작돼 내년 2월까지 몰려 있다. PF 부실채권의 충당금 부담도 당초 예상보다 커졌다. 당국은 자산관리공사(캠코)가 구조조정기금으로 사준 PF 부실채권의 대손충당금 적립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려 분기별 충당금 적립부담을 11분의1에서 19분의1로 줄여주려고 했다. 하지만 오는 2014년 말까지인 구조조정기금의 시한을 아직 연장시키지 못해 매 분기 쌓아야 하는 충당금이 원래 예정보다 많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