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116억원에 200명이 채 안되는 조직.」연 매출이 수조원에 이르는 다른 공기업에 비하면 시설안전공단의 외형은 초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의 성과에서는 여느 공기업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오히려 앞서가고 있다. 이미 상당수 공기업들이 구조조정 과정을 벤치마킹하는 등 시설안전기술공단은 구조조정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공단은 단순히 조직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에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점이 다른 공기업의 구조조정에서는 볼 수 없는 시설안전기술공단의 특징이다.
◇구조조정 내용 우선 인력부문을 보자. 구조조정에 들어가기 전인 지난해 8월 공단의 인력은 222명이었다. 그러나 지금 현재 인력은 179명. 20%의 인력이 줄었다. 특히 구조조정에 따른 동요와 근무분위기 해이로 생산성 저하를 막기 위해 정부 방침 결정후 불과 3일만에 이뤄졌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단순히 숫자 맞추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인력감축이었다는 점이다. 임원의 경우 9명에서 5명으로 줄어들었으며 1·2급 간부직원도 77명으로 44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하위직급에 비해 상위직급의 감소폭이 컸다는 얘기다. 또 지원부서 인원비율도 45명에서 22명으로 줄였다. 정년퇴직 등 자연감소나 하위직·여직원 위주의 형식적 구조조정 보다는 상위직, 지원부서 위주의 실질적 구조조정을 실시한 것. 그만큼 전체 조직도 소수정예로 재편돼 경쟁력 향상의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이 과정에서 잔류 직원들의 희생 또한 남달랐다. 공단이 설립된지 불과 3년5개월정도 밖에 되지 않아 구조조정 대상 직원들은 다른 공기업에 비해 퇴직금이 적을 수 밖에 없었다. 직원들의 자연스러운 퇴출유도가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이에따라 잔류직원들이 5개월간 월급의 20%씩을 갹출해 위로금으로 지급하고 여기에 임원들이 한달치 봉급을 추가로 보탰다. 인근 모 공기업은 직원들이 십시일반 퇴직자들의 위로금을 모으는 이같은 아이디어를 벤치마킹하기도 했다.
경비절감을 위해 구조조정과 동시에 사무실 임대차계약도 축소했다. 1,648평이던 사무실 규모를 1,345평으로 줄여 13억5,000여만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또 구조조정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퇴출직원 지원대책반」을 운영, 퇴출직원의 1년간 의료보험료를 공단에서 부담하는 한편 퇴출직원들이 사무실을 마련할 경우 싼 값에 집기, 컴퓨터 등을 대여해 창업을 돕고 있다.
◇구조조정 보완방안
공단은 구조조정 그 자체 보다는 오히려 구조조정후의 경영혁신에 더 초점을 맞췄다.
공단 업무의 특성은 업무가 하반기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정부 기관의 예산 집행이 하반기에 집중되는 관행 때문이다. 이 때문에 상반기에는 인력이 남아돌고 하반기에는 업무가 폭주하는 불균형 현상이 심각했다.
이에따라 공단은 앉아서 업무를 기다리기 보다는 적극적인 세일즈를 통해 상당수 수탁업무를 상반기로 앞당겼다. 연중 고른 업무량으로 업무편중 현상이 없어졌음은 물론이다. 인력 풀(POOL)제를 도입해 남는 부서의 인력을 업무량이 많은 부서에 지원토록 함으로써 특정부서에 업무가 집중되는 현상도 없앴다.
올해부터 도입한 성과급제도 민간 업체 수준을 넘어서는 파격적인 수준이다. 다른 공기업의 경우 전체 임금에서 성과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15~20%인데 반해 공단은 성과급 비중이 80%에 이른다. 열심히 일하는 만큼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 취지다.
이와함께 각 부서별 직원대표로 구성된 「공단발전추진팀」을 운영함으로써 칸막이식 자세를 타파하고 업무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공단 전체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했다.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내부경쟁제도도 도입하고 있다. 업무성과품인 「안전진단 보고서」에 대해 평가제를 실시해 임금에 이를 적용하고 있다. 또 올해부터 미국·일본 등에 직원을 순환식으로 상주시켜 선진 건설안전기술을 습득케 하는 한편 인력수요가 한정적인 전기·기계 등 8개 분야 특수직종 362명에 대해 서는 인력 아웃소싱제로 전환하기도 했다.【정두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