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IT컨버전스시대 열렸다] 텔레매틱스

자동차가 '달리는 사무실' 변신<BR>운전자 지원부터 사무 자동화 기능까지<BR>콘텐츠·단말기등 차량·이통사 경쟁 치열<BR>올 국내시장 10억弗 돌파 급성장 전망


‘꿈의 자동차’ 라고 불리는 텔레매틱스 자동차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이 결합된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자동차를 정보와 인터넷이 결합된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텔레매틱스는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전경로를 찾아주는 네비게이션(자동항법장치) 기능 외에도 자동차의 위치추적, 인터넷 접속, 원격 차량진단, 사고감지, 교통정보 제공 및 사무자동화 기능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마디로 기존의 운송수단에 그쳤던 자동차산업을 인터넷이라는 IT 기술과 결합시키면서 두뇌를 가진, 똑똑한 차량으로 변신시켜 ‘달리는 사무실’ 기능을 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텔레매틱스를 차세대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선정했으며, 차량업체와 이동통신사들도 사활을 걸고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두뇌를 가진 자동차가 달린다=현재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교통정보 및 주행안내, 긴급구조 등 운전자 지원과 안전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자가 차량 관리, 주행안전정보 관리, 비디오폰, 화상회의 등 다양한 콘텐츠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보험사, 경호업체 등과 연계한 종합적 사고처리 서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인 텔레매틱스를 적극 육성키 위해 수요 창출 기반 조성과 기술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제주도에서 시범서비스에 돌입,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최적경로 추적은 물론 주변 관광지, 주요소, 음식점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장착된 렌트카 500대를 운영중에 있으며 조만간 500대를 더 추가할 계획이다. 텔레매틱스 산업의 성장은 자동차 산업과 IT산업의 연계를 촉발, 자동차산업의 부가가치 제고와 IT산업의 확대를 함께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차량 및 이통사 경쟁 치열=현재 국내 텔레매틱스 시장은 차량업체와 이통 서비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먼저 쌍용차는 음성인식 및 합성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최소화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에버웨이’를 개시한다. 르노삼성은 SK텔레콤과 제휴, 현재 네이트 드라이브를 서비스하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기본 이용료를 종전보다 대폭 낮춘 텔레매틱스 서비스 상품 ‘모젠(Mozen) 라이트’를 출시하면서 시장 장악에 나서고 있다. 또한 차부품업체인 현대오토넷은 차량용 AV시스템과 DVD플레이어 기능을 결합한 ‘카 씨어터’단말기를 개발하고 PDA(개인통신단말기) 네비게이션을 출시,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또 SK텔레콤은 다음커뮤니케이션, 제주도와 함께 텔레매틱스 시범사업을 진행중이다. KTF도 ‘K Way(웨이)를 통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LG텔레콤도 ‘이지드라이브’ 등을 통해 갖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시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올 국내 시장규모 10억달러 넘을 듯=올해 국내 차량용 통신시장 규모는 10억 달러를 웃돌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차량용 통신시장 규모는 단말기 3억2,000만 달러 서비스사업 1억4,000만 달러 등 총 4억6,000만 달러에 달했고 올해는 2배 증가한 1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난해 국내 텔레매틱스 시장 규모는 단말기 보급률이 2003년 0.7%에서 2%로 급성장했다. 내년에는 16억 달러로 늘어나 2007년께는 단말기 보급률이 현재의 10배 이상 늘어난 27%(차량 500만대)에 달해, 시장 규모 역시 3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