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3월 22일] 쳇바퀴 도는 세종시

21일 한나라당 당사에서 진행된 두 차례 기자간담회에서는 세종시 수정안 처리 시기를 놓고 전혀 다른 목소리가 나왔다. 당 세종시특위 위원장을 지낸 정의화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당사 기자실에서 진행된 간담회에서 세종시 해법 도출 시기에 대해 "지방선거라는 정치 이벤트가 있어 선거 이후로 넘어갈 가능성이 많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세종시 중진협의체가 시점을 정해놓고 세종시 문제를 논의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고충을 털어놓으며 "세종시 법안은 다음주께 국회에 제출되겠지만 세종시 문제는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가는 그런 모습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두시간여 뒤 같은 장소에서 벌어진 정두언 한나라당 지방선거기획위원장의 간담회에서는 전혀 다른 맥락의 이야기가 나왔다. 정 위원장은 세종시 논란과 관련, "지방선거 전에 반드시 매듭지어져야 된다"며 "세종시 중진협의체에서 3월 말까지 결론을 내려야 하고 오는 4월 국회 전에 세종시 문제의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때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하면 당헌ㆍ당규상 절차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며 세종시 사안 속전속결을 주문했다. 같은 사안을 두고 당내 친이계(친이명박)에서조차 전혀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속사정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간다. 친이-친박(친박근혜) 간 갈등이 심한 사안인 만큼 친이계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그간의 논의 과정을 보면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 말 이후 한나라당 내 세종시 논의 과정은 국가적 대사에 대한 진지한 토론 과정이기보다는 마치 계파 간 분쟁의 정석을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했다. 일각에서는 한나라당 중진협의체가 결국 앞서 활동하다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끝난 세종시특위나 의원총회의 모습을 재현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야 할 한나라당 내 세종시 수정안 처리 과정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제자리걸음 하는 것을 보면 아쉬움을 금할 수 없다. 이미 충분한 논의가 진행된 만큼 이제는 지지부진 시간을 끌기보다는 최종 매듭을 지어야 할 시점이다. 세종시 사안과 관련해 지방선거나 정파적 이해를 넘어 과연 정도(正道)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