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예금회전율 사상 최저

경기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예금회전율이 사상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예금회전율은 예금지급액을 예금평잔액으로 나눈 수치로 예금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예금자들의 자금사정이 좋아 예금을 찾아 쓸 필요가 적다는 뜻이지만 한편으로는 예금자들이 돈의 사용처를 찾지 못해 마냥 은행에 묻어두는 경향이 심해지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돈이 잘 돌지 않는다는 최근의 우려를 입증하는 또 하나의 지표인 셈이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 가운데 기업 입장에서 운전자금용으로 수시로 입출금이 이뤄지는 성격인 요구불예금의 회전율은 외환위기 이듬해인 지난 99년에는 67.0회에 달했으나 2001년 39.0회, 2003년 31.9회로 낮아졌으며 올해 5월에는 24.1회로 사상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 회전율도 99년 91.0회에서 2001년 49.8회, 2003년 41.4회에 이어 올 5월에는 29.7회로 떨어졌다. 당좌예금 회전율은 99년 1,105.6회에 달했으나 매년 하락, 올해 5월에는 374.3회로 낮아졌다. 보통예금 회전율 역시 99년 42.8회에서 2001년 24.2회, 2003년 20.6회에 이어 올해 5월에는 17.2회로 내려가는 등 모든 요구불예금의 회전율이 사상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가계나 기업이 필요할 때 수시로 인출해 쓸 수 있는 자금을 예치해둔 성격인 요구불예금의 회전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전반적인 자금사정이 양호한 가운데 소비심리가 위축돼 자금이 원활하게 돌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