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5년부터 국공립학교 교복, 학교가 주관해 구매

교복 소비자가격 상한제 도입…하복에 자율성 강화

2015년부터 국·공립학교의 교복은 학교가 주관해 품질 심사를 통과한 업체를 대상으로 한 경쟁입찰로 사게 된다.

교육부는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자 이 같은 내용의 ‘교복가격 안정화 방안’을 4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체육복, 졸업앨범과 같이 학부모가 경비를 부담하고 학교가 교복 구매를 주관하도록 했다. 현재는 학생이 개별적으로 또는 희망자들에 한해 공동구매로 사고 있다.

이 같은 교복 구매 방식은 2015년부터 국공립학교에 적용하고, 사립학교에는 이를 권장하기로 했다.

입찰은 조달청 전자 입찰, 한국교직원공제회 전자입찰, 학교별 입찰, 교육지원청 단위 공동구매 등의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교육부는 사전에 학교별 품질 심사를 통과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적정 수준을 품질을 유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학교가 선정한 제조사의 제품을 선호하지 않은 학생은 개인적으로 다른 교복을 선택할 수 있다.

관련기사



여름 교복의 경우 간편한 형태의 생활교복을 활용하거나 상의는 교복, 하의는 특정 색의 면바지를 입는 식으로 교·사복 혼용을 허용해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소비자 가격은 일선 학교가 시·도교육청이 설정한 가격 상한선 이하에서 교복을 사도록 해 안정화를 꾀한다.

또 제조사의 원가절감을 위해서 2015년부터 시·도교육청별로 국·공립학교를 위한 표준 디자인을 만들기로 했다.

하의나 카디건의 경우 시·도교육청이 몇 개의 디자인을 제시하면 관할 학교에서 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교육부는 이달 중으로 교복 4대 업체와 출고가격 안정화, 변형교복 제작·판매 제한, 디자인 변경 예고제 등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맺을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번 대책으로 소비자 구매 가격이 올해 동복 기준으로 25만원에서 공동구매 평균가격인 19만원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