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동 수출 中企에 300억 긴급자금

은행 여신 만기 연장·세금 납부도 늦춰주기로

정부가 중동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에 긴급경영안정 자금을 지원한다. 또 은행 여신에 대한 만기를 늦추고 세금납부도 연장해주기로 했다. 지식경제부∙중소기업청∙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국세청 등은 6일 리비아 등 중동 지역과 교역해온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긴급지원 대책을 마련, 발표했다. 우선 중소기업청은 올해 책정된 2,2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 가운데 300억원을 이번 중동사태로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 지원하고 기존 융자금의 상환도 유예시켜주기로 했다. 또 지경부는 무역보험공사를 통해 통상 사고발생 통지일 후 4~5개월 뒤에 주는 보험금을 3개월 이내로 앞당겨 가지급금 형태로 지급해주기로 했다. 금감원은 각 은행에 수출 중기들의 기존 여신에 대한 만기 연장과 신규 여신 지원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고 국세청도 리비아 수출 업체에 대해서는 국세 납기연장 및 징수유예를 6~9개월까지 시행하기로 했다. 민간 차원에서 무역협회는 '대(對)중동·아프리카 무역애로 신고센터'를 통해 국내 무역업계의 피해현황 및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이달 중 '중동시장 긴급점검설명회'를 여는 데 이어 '대체시장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5월)'도 개최하기로 했다. 실제로 리비아 사태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피해도 하나둘씩 늘고 있다. 지경부에 따르면 수출 자동차 부품업체 I사는 리비아로 수출된 40만달러의 대금을 아직 받지 못하고 있고 중장비 제조사인 K사도 리비아로 향하려던 100만달러어치의 물량이 선적보류 상태에 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리비아가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최근 원자재 값 급등과 수출대금 미회수, 선적 지연 등이 겹치면서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리비아 의존도가 높고 유동성 애로를 겪고 있는 업체에 대한 세부 금융지원 계획을 마련해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