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0년간 수출, 제조업 '훨훨' 서비스업 '추락'

2000년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은 크게 성장한 반면, 서비스업 수출은 추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8일 ‘최근 우리나라 수출 구조 특징과 과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은 2000년 세계 12위에서 지난해 9위로 3계단이나 뛰어 올랐지만, 서비스업 수출은 같은 기간 13위에서 19위로 무려 6계단 추락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상의는 우리 제조업 위상이 올라간 것은 기업과 정부가 제품 경쟁력을 꾸준히 키워온 덕분이라며 반면 서비스업은 내수산업이라는 전통적인 인식과 지나친 진입 규제ㆍ시장보호로 수출 경쟁력 제고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7%로, 미국(77.6%), 프랑스(77.2%), 영국(76.2%)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상의는 지적했다. 노동생산성도 우리나라는 1인당 3만 달러 정도로, 미국(7만1,000달러), 프랑스(5만8,000달러), 영국(4만8,000달러) 등에 한참 못 미쳤다.

보고서는 또 우리 수출 구조의 문제점으로 ‘대(對) 중국 수출 의존도 상승’과 ‘IT(정보기술)ㆍ자동차ㆍ철강 수출 집중도 심화’를 꼽았다. 보고서는 "2000년만 해도 미국, EU, 일본 시장이 수출의 절반을 차지했으나, 2005년 이후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은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4분의1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며 "중국 경기에 영향을 덜 받기 위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