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충청권 토지시장 여전히 '후끈'

투기지역 지정불구 외지인 투자 줄이어<br>거래 2배늘고 땅값도 2년만에 2~3배로

충청권 토지시장이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늘고 땅값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충청권의 토지투기지역 지정 등 규제지역 확대로 투기바람이 잠시 주춤하고 있지만 여전히 신행정수도 이전 및 산업단지 조성 등 호재로 달아오른 열기는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24일 토지공사 및 중개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상반기 대전을 제외한 충남 땅값은 녹지지역 및 관리지역(옛 준농림지역)이 각 10.6, 8.2% 올라 이미 지난 한해 녹지지역(7%), 관리지역 (5.2%) 상승률을 크게 넘었다. 지난 2002년과 비교하면 2~3배 이상 오른 수치다. 신규 토지투기지역으로 묶인 충남 당진은 투기지역 지정이후에도 외지인의 문의는 줄지 않고 있다. 당진군 석문, 고대면 일대 관리지역내 도로를 끼고 있는 논ㆍ밭은 올 초보다 2배 이상 오른 평당 25만~30만원선에 달하는 땅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신행정수도 이전지 주변 땅으로 관심이 커지는데다 인근 석문산업단지 등 지역균형개발에 따른 땅 수요 증가가 기대되면서 서울, 수도권지역 외지인 들의 묻어두기 식 투자가 늘고 있는 것이다. 이곳 부동산TV공인 관계자는 “투기지역 지정은 단기매도에 타격을 줄 뿐”이라며“거래에는 지장이 없어 장기투자자들이 사두면 꾸준히 오를 것이란 기대로 입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전을 비롯한 충남, 충북지역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4차례에 걸쳐 토지투기지역이 확대돼 왔지만 토지거래는 계속 늘고 있다. 토지공사에 따르면 충남지역 관리지역(준농림지)의 올 2분기 총 거래건수는 2만7,517건(1,932만평)으로 지난 2002년 1분기 1만4,332건(931만평)의 2배에 달했다. 지난해 2월 대전, 천안, 청주 등 11곳이 토지거래허가로 묶인 후 당해 2분기 7,760건으로 급감한 것을 제외하면 거래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충청권 구석구석에 부는 투기바람으로 규제지역도 가격은 보합세다. 충남 금산군은 지난해초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에도 한동안 대로변 준농림지는 평당 20만원선을 웃도는 강세를 보였다. 최근 옥천, 보은 등과 함께 허가구역에서 풀리면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서산시 갈산동 K공인관계자는 “산업단지개발, 충남도청 이전 등 지역 호재가 이어지는 곳의 투자열기는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조기에 식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