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범여권 친노주자 양분 조짐

무조건적 신당 합류 Vs 당 사수파

범여권의 친노주자들이 대통합민주신당(이하 신당) 합류 여부를 놓고 양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명숙 전 총리와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은 무조건적인 신당합류를 주장하는 반면 이해찬 전 총리와 김혁규ㆍ김원웅ㆍ신기남 의원 등은 열린우리당 사수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마이웨이에 나서고 있다. 한 전 총리는 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친노성향인 이 전 총리와 대선출마를 준비중인 유시민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우리가 상호간 경쟁으로 서로를 갉아먹고 우리의 힘을 분산, 약화만 시켜서는 대선 승리의 불씨를 살려낼 수 없다”며 후보단일화를 제안했다. 또 단일화 방식에 대해선 “2002년 후보단일화 때처럼 여론조사가 현실적”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장관도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호랑이를 잡기 위해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며 열린우리당 탈당 및 신당 참여를 선언했다. 한 전 총리와 김 전 장관의 주장은 친노진영이 모두 신당에 결집해 범여권의 대선후보 경선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취지로 이해된다. 이들은 또 올 대선까지의 시한이 촉박한 만큼 친노진영이 신당의 지분에 연연하지 말고 대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 총리 등 다른 친노주자들은 신당이 열린우리당의 지분을 일정 부분 보장해야 합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당 지도부가 신당으로의 흡수합당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 전 총리 등은 이런 방식이 열린우리당의 지분과 정체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사실상 소멸시키는 것이란 우려를 갖고 있다. 신당의 지분은 사회시민단체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측, 열린우리당 및 통합민주당 탈당파 등 비노진영이 나눠 갖고 있어 열린우리당이 흡수합당될 경우 친노 정치인들이 내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더구나 대선구도에서도 손 전 지사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등 비노주자들이 선점하고 있어 친노주자들이 신당 내에서 대선후보로 선정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일부 친노주자들의 독자세력화에 대한 정치권 내 비판도 만만치 않다. 이 전 총리, 김혁규 의원 등은 신당의 경선방식을 논의하는 협의체인 ‘국민경선추진협의회’에 대리인까지 파견하며 경선룰을 정해 신당 불참은 어불성설이란 지적이다. 따라서 일부 친노주자들의 독자세력화 시사발언은 신당 참여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포석이란 해석도 제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