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정원 8국장이 원장에게 직접보고"

임동원ㆍ신건씨는 부인…이종찬씨 내주 초 소환

`안기부ㆍ국정원 도청'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도청수사팀은 12일 김대중 정부 시절 일부 국정원장들이 감청담당 부서인 8국(과학보안국) 국장들로부터 도청 정보를 직접 보고받은 정황을 잡고 정확한 경위를 캐고 있다. 검찰은 8국에서 주요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정치인 등 주요 감청 대상자의 통화내용을 불법 감청한 뒤 그 내용을 요약해 김은성(구속) 당시 국내담당 차장에게 보고하면서 동시에 임동원ㆍ신건씨 등 당시 국정원장들에게도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는관련자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김은성씨 등에 대한 보강 조사를 거쳐 이르면 다음 주에 임동원ㆍ신건씨 등을 소환, 8국의 보고내용 중 일부 불법 감청정보가 포함된 사실을 알고도 묵인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해 혐의가 드러나면 사법처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임동원씨는 "누가 도청을 지시하고 또 결과를 보고 받고 일일(도청)보고를 했다는 등의 얘기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도청 정보가 8국장을 통해 직보됐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김대중 정부의 마지막 국정원장이었던 신건씨도 "내가 재직할 당시에는 불법 도청이 없었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자신들에게 보고된 각종 정보중 일부가 도청에 의해 입수된 사실을 몰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당초 이번 주 소환을 검토했던 이종찬 전 국정원장에게 다음 주 초에 출석토록 이날 정식 통보했다. 검찰은 이종찬씨가 소환되면 유선중계통신망을 이용한 휴대전화 감청장비인 `R-2'를 개발한 배경과 이 장비의 운용 실태, 불법 감청의 지시 여부 등을 캐물을 계획이다. 지난달 8일 국정원 전직 과장 집에서 압수한 도청테이프의 실체 규명을 위해 이씨가 국정원장 퇴임 후인 1999년 10월께 중국 베이징에 연수 중이던 문모 당시 중앙일보 기자와 국제전화를 나눈 사실이 있는지도 확인할 예정이다. 검찰은 삼성의 1997년 대선자금 제공 고발사건과 관련, 홍석현 전 주미대사와접촉해 소환조사 일정을 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홍석현 전 대사가 소환에 거부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과다르다. 우리가 필요한 적절한 때에 (홍 전 대사의)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갑작스럽게 검찰에 불출석한 김은성씨는 이날 오전 수사팀에 나와 조사를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김은성씨가 어제 불출석한 것은 건강문제 때문이었다. 오늘 오전에 나와 조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