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합종연횡」 가능성 있나/올 대선 다자간 대결

◎‘보수대연합’ 될지도/이 대표 “정파떠나 대통합” 선언/‘DJ 포위론’ 전략 사용 구체화/“아직은 명분부족”이 대세인듯올 대선판도가 정당별 대결구조가 아닌 다자간 인물대결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여야를 넘나드는 합종연횡, 보수대연합이 구체화되고 있다. 신한국당 이회창 대표는 28일 천안 중앙연수원에서 있었던 전국 시도위원 연수 특강에서 『계파와 정파를 다 떠나서 국민회의와 국민통합추진위원회(통추), 자민련, 민주당 할 것 없이 모든 정파에서 우리와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대통합의 정치를 열겠다』고 말했다. 결국 다자대결 구도로 펼쳐지는 올 대선판도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적극적으로 연대에 나서겠다는 폭탄성 발언인 셈이다. 이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아들의 병역문제 등으로 지지율이 지지 부진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독자출마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이인제지사가 출마하게 될 경우 올 대선에서의 승리를 장담하지 못할 것이라는 상황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대표는 또 이날 특강에서 『우리 당은 경선을 통해 동서화합의 기틀을 마련했다』며 『이는 성숙된 국민의식의 표출이며 당의 내부화합은 물론 국가 전체로서도 동서 대통합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말해 대통합의 명분을 제시했다. 실제 이대표가 대연대에서 가장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자민련과 민주당의 통추쪽. 여기에 먼저 화답하고 나선 것은 최근 김종필총재의 지지율 하락으로 내몰리고 있는 자민련이다. 자민련 김종필 총재는 이날 신한국당과의 내각제 연대설에 대해 『신한국당이 내각제에 대해 참되게 그런 생각이 있다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해 여권의 보수대연합 추진이 내각제를 전제로 이루어지면 합류할 가능성이 있음을 배제하지 않았다. 김총재는 또 내각제와 정권교체중 어느 것이 먼저냐는 질문에 『내각제가 우선이지만 그것을 위해 정권교체를 해야하며 내가 대통령이 된다면 이 두 가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자민련 강창희 총장은 이에 앞서 실·국장회의에서 「JP와 신한국당 연대설」은 장기적으로 야권의 분열을 조장함으로써 여권 내부의 분열을 막고, 단기적으로는 오는 9월4일 경기 안양만안 보궐선거에서 신한국당 박종근 후보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노림수라고 주장해 자민련내에 팽배해있는 의구심을 표출했다. 실제 신한국당 이대표의 측근인 백남치 의원 등이 최근 자민련 김용환 부총재와 접촉하고 있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들이 계속 감지되어 왔다. 결국 김종필 총재가 국민회의와 후보단일화 이외의 연대가능성을 시사하고 이에대해 이대표도 적극 수용, 연대의 폭을 최대한 넓힐 수 있다는 것을 선언적으로 명시한 것이다. 즉 이지사 출마에 따른 대선판도의 혼미와 이에따른 대안으로 신한국당·자민련을 묶는 보수대연합 구도가 의견차원에서 개진됐고 이대표가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대표의 또다른 복안은 조순 시장과의 연대로 보여진다. 결국 한치앞을 내다볼 수 없는 대선판도에서 확실한 지역기반이 있는 국민회의 김대중 총재를 이기기 위해서는 결국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 돼 온 「DJ 포위론」 등을 대선전략으로 차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대표는 이번 대선의 관건을 국민회의 김대중 총재로 보고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DJ를 제외한 모든 세력들과의 제휴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당장은 여야간 보수대연합 구도가 구체화될 것 같지는 않다. 우선 신한국당과 자민련내에서는 연합에 대해 명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의견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이대표는 자칫 너무 일찍 보수대연합을 들고 나올 경우 가뜩이나 이대표 지지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당내 비주류들이 이탈할 명분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날 이대표의 발언은 대선레이스가 본격화될 경우에 대비한 선언적인 의미 등 다양한 포석이 깔린 것으로 볼 수 있다.<온종훈 기자>

관련기사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