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 외환은행 매각협상을 보며

올해 금융권 기업 인수합병(M&A)의 최대어로 떠오른 외환은행 인수를 둘러싼 논란으로 금융계가 들썩이고 있다. 2파전으로 압축된 국민은행과 하나금융지주의 ‘언론 플레이’가 도를 넘어서다 보니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한 인수전 보도도 과열로 이어지고 있다. 국회를 중심으로 제기된 ‘외환 인수 론스타 인수 과정의 불법성’ 논란까지 가세해 외환은행 인수전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그야말로 ‘안개 속’에 놓여 있다. 외환은행 인수전을 바로 보면서 경계해야 할 점은 크게 세 가지로 모아진다. 가장 큰 문제는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에 대해 정치적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회를 중심으로 절차상의 하자 등을 문제 삼고 있지만 적어도 코메르츠방크가 매입해 추가자금을 투입할 수 없을 정도로 외환은행의 경영 여건이 부실했을 때 론스타는 1조원의 실탄을 투입하는 결단을 내렸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실제로 외환은행 측은 지난 2002년 말 모건스탠리를 주간사로 씨티와 HSBCㆍJP모건 등 해외 14개 투자가에 투자 참여의사를 타진했지만 모두 거절됐고 오직 론스타만이 유일한 협상 대상으로 남아 있었다고 주장한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투자한 투자 주체가 금융기관이나 펀드로서 인수 자격이 있느냐의 논란은 그 당시 정책 결정 과정에 관여한 정부ㆍ감독기관의 책임 소재 문제일 뿐이다. 또 하나. 외환은행이 고가에 매각된다고 그것이 무조건 나쁘냐 하는 점이다. 정부는 기업은행을 비롯해 우리금융ㆍLG카드 등의 민영화를 앞두고 있다. 이에 앞서 이뤄지는 외환은행의 매각 가격이 높아진다는 점은 나머지 금융기관 매각을 통해 정부가 더 많은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기대를 낳는다. 특히 시장주의와 자본주의 질서가 잘 지켜지고 예측이 가능한 국가라는 점을 국제금융가에 인식시켜주는 것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국가 신인도’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 외환은행 인수전 과정에서 시장 가격이 무시되고 있는 점도 경계해야 한다. 인수전에 먼저 뛰어든 하나금융지주가 ‘적정 가격’ 논리를 내세워 주당자산가치(PBR)에 맞는 가격에 인수하겠다는 뜻을 먼저 밝혔다. 뒤이어 참여한 국민은행도 최근 들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적정 가격 이상으로 사들이지는 않겠다”고 선언했다. 외형상 가격 경쟁은 지양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시장 가격이 형성된 M&A 딜에서 다른 지표를 내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산가치나 수익가치를 계산해 추정하는 것은 기존 시장 가격이 없는 경우 이를 대체할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시장 가격을 인정하고 이에 맞는 인수 조건 협의가 이뤄져야 외환은행 매각 협상이 빨리 타결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