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국소 한 해 44만마리 이상 '광우병 유사' 증세

서울대 정책용역보고서…"한국, 인간 광우병 가장 위험"

미국소 한 해 44만마리 이상 '광우병 유사' 증세 서울대 정책용역보고서…"한국, 인간 광우병 가장 위험"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reporter@hankooki.com 미국산 쇠고기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1993년 이후 미국에서 광우병 감염 사례가 불과 3건밖에 안돼 안전하다고 주장해온 미국과 정부의 논리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연구결과가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대가 작성해 농림수산식품부에 제출한 '쇠고기 특정위험부위 관리 및 도축검사 선진화 방안'에 따르면 미국에서 한 해 40만마리가 넘는 소들이 광우병(BSE)과 유사한 증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의 광우병 예찰 (검역)프로그램만으로는 광우병 안전을 보증하기 어렵다고 경향신문이 7일 보도했다. 특히 국내에서 광우병이 발병할 경우 인간 광우병으로 불리는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코브병(vCJD)이 발생할 가능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광우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고위험 우군(牛群)'에 포함되는 소를 연간 44만6,000마리가량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우군에는 ▲중추신경 이상 증상으로 도축이 금지된 소 ▲다 죽어가거나 죽은 소 ▲다치거나 수척한 소 ▲원인 불명의 증상으로 농장에서 죽은 소 ▲걷지 못하거나 안락사된 소 ▲운동실조증이나 심각한 우울증으로 죽은 소 등이 포함돼 있다. 이 가운데 원인 불명 또는 광우병 관련 의심 증상으로 농장에서 죽은 소가 25만1,500마리, 미국 농림부 식품안전검사국(FSIS)의 도축금지 범주에 속하는 소가 19만4,200마리, 뇌(CNS) 이상을 보이는 소가 129마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미국은 물론 우리 정부도 미국에서 연간 광우병 고위험소가 40만마리가 넘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보고서는 "2004년부터 미국은 30개월 이상 광우병 고위험 소를 대상으로 예찰을 강화했지만 (미국도) 예찰 프로그램이 그 자체로 (광우병 감염 여부를) 보증할 수 없고, 진단의 한계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한국의 경우 소의 뿔과 발톱을 빼고, 전부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어 국내에서 광우병이 발생할 경우 '인간 광우병'이라 불리는 vCJD가 발생할 가능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