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장직 정치와 관련 없어 일해본 사람이 맡는게 바람직"

“서울시장 정치와 관련 없어”

이명박 대통령은 8일 정치권을 강타한‘안철수 신드롬’에 대해“여러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보지만 오히려 이를 발전적으로 더 나가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면서 자신감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상춘재에서 진행된 ‘추석맞이 특별기획, 이명박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 대학원장을“대통령 직속 위원회 멤버”라며 친근감을 표시했고“미래 지향적인 사람이 (정치권에)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내 자신도 처음 정치에 들어갔을 때 ‘정치하는 사람이 아니면 들어갈 수 없겠구나’ 생각했다” 면서 “정치에 좋은 인재가 모이지 않는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정치에서 성공할 확률이 매우 적어서 몸을 던지지 않는 것이다”이라고 진단했다. 여당이 겪고 있는 서울시장 후보 인물난을 공감하는 듯한 내용이다. 다만 이 대통령은 시장의 역할을 정치인과 구분하며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차기 대선 전초전으로 가는 것을 경계했다. 이 대통령은“제가 시장을 해보니 정치와 직접 관련이 별로 없더라. 경험한 바 시장은 정말 일하는 자리다”라면서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변화의 욕구가 있지만 시장은 시민을 편안하게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김황식 국무총리 등 여권에서 거론되는‘실무형’서울시장 후보에 대한 간접 지지로 해석할 수 있는 언급이다. 임기 내내‘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뒀다는 지적에 대해 “여의도 정치를 멀리하겠다는 건 아니고 여의도 정치에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영ㆍ호남 지역정당 철폐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어제(7일)도 광주 행사에 가봤지만 광주 가면 여당을 대표하는 사람 한 사람도 없다. 지방자치단체장부터 국회의원까지, (반면)대구에 가면 전부 한나라당 사람밖에 없다. 그래서 국회에서 충돌하면 영남과 호남의 충돌이 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어떤 제도를 쓰든 국회에서 호남에서도 여당(출신 국회의원)이 나오고 영남에서도 야당이 나와야 원활할 대화 채널이 되지 않겠는가. 그 변화를 요구하는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여권 일각을 비롯해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이 상대 진영 지역구 낙선자를 비례대표로 구제하는 석패율 제도를 추진하고 있지만 좀처럼 호응을 얻지 못하는 상황을 답답해 하는 표정이었다. 임기 1년 3개월여를 남겨둔 이 대통령은 레임덕 속 당청 관계에 대해“21세기 지금 시대에 레임덕이라고 힘빼고 소홀히 하며 적당히 시간 보낼 수 없다”면서 “지금은 세계가 위기 상황이다. (레임덕 논란에)연연하지 않고 나라가 제대로 가도록 마지막 날짜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한 국내에서는 여당이 주도해 이명박 정부의 핵심 공약인 감세를 철회하면서 레임덕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으나 정작 이 대통령은 해외 상황까지 챙겨야 하므로 의식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 대통령은“세상이 빠르게 돌아간다. 국내에서 여의도 정치만 따지고 물가만 따지는 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