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포·청담지구(저밀도 재건축지구 탐방)

◎부담금 많아 사업진행 지연될듯/최소 1억원… 차익 기대도 어려워/청담지구는 대지지분 적어 문제점반포지구는 5개 단지 9천1백43가구의 아파트로 이뤄져있다. 이 가운데 반포주공 1단지를 제외한 나머지 아파트들은 대개 재건축추진위원회가 설립돼 주민동의를 받고 있는 정도. 1단지는 조합을 설립해 시공사까지 선정한 상태다. 1단지 주민들은 사업추진이 제일 빠른데다 이곳이 수해지역이어서 가장 먼저 재건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가 연차적인 개발방침을 발표한 이후 재건축 추진 정도가 더딘 곳에서 반발이 심해 장담은 못하고 있다. 1단지 아파트 가운데 재건축이 추진되는 것은 22평형 1천4백90가구다. 나머지 36∼64평형에 사는 주민들은 재건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시공사인 대림산업과 현대건설이 2백85%의 용적률로 설계에 들어갔지만 몇가구로 재건축될지, 조합원들에게는 몇평형이 돌아갈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고 있다. 다만 시공사측은 현재 규모의 1.5배인 전용면적 30평, 공급면적 38평형 정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은 『현재도 22평형에 살고 있는데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10평 정도 늘어나는 것이 고작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조합 설립시 시공사가 제시한 3백73%의 용적률이 계속 내려와 이번에 발표된 최고 2백85%의 용적률을 적용할 경우 나중에 내야 할 부담금도 상당한 규모가 된다는 게 주민들의 얘기다. 시공사측에서 예상하는 추가부담금은 최저 1억원이다. 이 아파트의 시세가 2억∼2억3천만원선인 것을 감안하면 금융비용을 빼더라도 전체 투자비가 3억원 이상 된다. 인근 37∼38평형짜리 아파트의 값이 2억5천만∼2억7천만원선인 것과 비교하면 투자메리트가 없다. 반포아파트 도로변에 쭉 늘어선 상가 재건축문제도 관심사다. 서울시 도로계획상 상가가 뒤로 3m 들어가야 돼 어차피 재건축은 해야 된다. 같이 재건축을 하려면 지분 문제가 복잡하고 그렇다고 놔둔채 하기도 어려운 상태. 더욱이 상가 2층 주인들은 상권이 죽어 재건축을 원하고 있는 반면 1층 주인들은 재건축을 원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아직 전혀 논의가 되지 않고 있지만 이 문제도 아파트 재건축을 하기 전에 해결해야 할 숙제다. 한편 이곳은 요즘 매매가 두절된 상태에서 전세거래마저 중단됐다. 전세를 들어올 경우 2년 거주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부 집주인들은 싼값에 월세로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청담지구에는 해청아파트와 영동차관아파트가 있다. 해청아파트는 8백10가구 규모로 현재 재건축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이곳은 용적률이 1백33%로 5개 저밀도지구 아파트 가운데 가장 높다. 수익성 측면에서 볼 때 큰 메리트가 없다. 또 22평형에서 50평형까지 다양한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서있어 재건축을 위한 의견일치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 재건축을 하는데는 오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동차관아파트는 대지지분이 적은 게 문제다. 대지지분이 15평형은 15평, 22평형은 22평으로 용적률 2백85%를 다 적용하더라도 무상지분율이 1백40% 이하로 떨어진다.<한기석>

관련기사



한기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