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뒷북'마저 졸속 … TF에 부실검사 기관 포함

해수부, 세월호 후속대책 논란

세월호 침몰 참사와 관련해 해양수산부가 연일 뒷북대책마저 졸속으로 쏟아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엄중한 책임추궁 방침을 거듭 경고했지만 정작 주무부처인 해수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해수부가 최근 세월호 후속대책 차원에서 구성하겠다고 밝힌 민간합동 태스크포스(TF)에 선박검사 부실의 당사자로 지목돼 검찰의 수사선상에 오른 한국선급(KR) 직원이 포함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한국선급 직원들은 해수부 직원들에게 향응 등 금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기도 하다. 과거 부실진단 논란을 사고 있는 한국선박안전관리공단 직원 역시 TF 일원으로 합류했다.

관련기사



사상 최악의 참사 원인을 규명하고 사후 책임을 물어야 할 감독당국이 문제의 기관 등을 대책팀에 합류시킨 것은 상식 밖의 일이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국내에 선박 안전진단을 담당하는 곳이 한국선급과 선박안전관리공단밖에 없어 해당 기관의 인사를 TF에 참여시키는 것이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해운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에는 한국선급 못지않은 선박안전진단 기관이 10여개나 되는데 해외 전문가를 배제한 채 사고와 관계가 있는 당사자를 TF에 넣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회는 세월호 참사의 후속조치로 해상안전을 강화하고 학생들의 단체활동시 안전대책 수립을 의무화한 일련의 법안들을 뒤늦게 처리했다.

/민병권·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