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상의, 메르스 확산에 따른 지역 현황과 대응방안 논의

부산상공회의소는 17일 오후 부산상의 국제회의장에서 메르스 사태 확산에 따른 ‘주요업종 긴급 모니터링 회의’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회의는 건설, 유통물류, 조선기자재, 자동차부품, 섬유신발, 화학, 전기전자 등 7개 업종에서 20명의 모니터링 위원이 참석해 해당 업종의 메르스 관련 현황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모니터링 위원들은 유통 관광을 포함한 내수기업, 소비재 생산기업에는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성수기인 7~8월은 기대조차 누리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의류업종은 메르스 확산에 따른 소비 심리 악화와 외출 자제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감소로 매출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여행 관광업의 경우에도 여행 예약 취소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겪고 있으며, 현 사태가 종결되더라도 업황 회복에는 약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직접적인 피해를 보지 않는 업종에서도 경기 위축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를 예상했으며, 직장 내 감염 방지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방역활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 하역업은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하역 등의 작업이 전면 중단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부산항 관련 근무자 중 메르스 감염 의심자가 발생해 예의주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상의는 이번 회의에서 나타난 기업애로 사항을 검토해 관계기관에 대책 수립을 건의 할 계획이다.

한편 부산상의는 기업연구실 내 ‘메르스 긴급 대책반’을 구성, 운영에 들어갔다.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