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근태 의장 실용노선 선회 조짐

취임일성으로 "서민경제회복" 강조이어 비대위 첫 회의서도 "민생우선" 내세워

김근태(가운데) 열린우리당 의장이 12일 서울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비상대책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김근태 열린우리당 신임 당 의장의 브랜드가 바뀐 것인가? 당내 재야파의 수장이자 개혁 이미지의 대명사였던 김 의장의 최근 행보를 두고 ‘실용노선 강화’로 노선을 선회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화 세력이란 것을 더는 훈장처럼 가슴에 달고 다니지 않겠다”(6ㆍ10 민주항쟁 19주년 기념식), “민주화 세력은 정권 교체와 정권 재창출로 이미 보상을 받았다”, “일자리ㆍ복지 혜택을 늘리려면 더 많은 경제 성장이 필요하다”(취임 기자회견) 등 일련의 발언에서 그 동안 강조했던 ‘개혁’보다 ‘성장’에 무게를 실은 듯한 느낌이다. 12일 비상대책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도 민생우선을 내세웠다. 김 의장은 “지표경제는 잘 나가는데 서민경제가 어렵다고 반복적으로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며 “중산층과 서민들의 생활경제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결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취임일성으로 강조한 ‘서민경제회복’의 연장선상이다. 첫 후속조치로 내 놓은 것은 ‘서민경제회복 추진본부’. 당 의장 직속기구로 설치해 직접 민생 사안을 챙기겠다는 적극적인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의장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이계안 의원의 제안으로 박정희 정권 시절 ‘청와대 수출진흥회의’를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상호 대변인은 이에 대해 “추진본부는 거당적인 서민경제회복 대책들을 하나씩 생산해 낼 것”이라며 “경제에 탁월한 식견을 가진 비중 있는 인사들이 추진본부에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혁→실용’으로 노선 변경이라 단언할 순 없지만 변화의 조짐은 분명해 보인다. 5ㆍ31지방선거 참패의 원인 중 하나가 개혁 피로증과 민생 파탄임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실용파 인사들 뿐만 아니라 재야파 소속인 이호웅 의원 등 개혁주의 진영에서도 참여정부의 정책기조 수정ㆍ보완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기류의 변화는 ‘부동산 정책을 조정할 생각이 없다’는 청와대ㆍ정부의 입장과 달라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의장은 “현 정부의 정책기조와 방향은 옳지만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국민의 문제제기를 경청하고 토론할 것”이란 원론적 입장을 밝힌 상태지만 ‘일부 수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계급장을 떼고는’아니더라도 집권 여당 의장으로서 확실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 전체의원 워크숍을 거친 뒤 나올 정책방향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