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신용층 "마지막 수단" 차량담보대출 크게 늘어

금융회사에 자동차를 담보로 맡기고 돈을 빌리는 차량담보대출이 올 들어 크게 늘어났다. 차량담보대출이 저신용층의 마지막 대출 수단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서민들이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리기가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금융감독원이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이성남 의원(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차량담보대출 잔액은 6조5,690억원으로 지난해 말 6조1,418억원보다 4,728억원(7.7%) 급증했다. 저축은행에서도 트럭과 승용차∙택시∙건설기계 등 차량을 담보로 한 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럭 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57억원에서 올 6월 말 623억원으로, 승용차 담보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456억원에서 881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택시 담보대출도 지난해 말 잔액이 1억원에 못 미쳤지만 올해는 60억원까지 치솟았고 건설기계 담보대출 잔액도 564억원에서 1,071억원으로 늘었다. 반면 여전사의 주택담보대출은 같은 기간 1조2,570억원에서 1조684억원으로 15%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금융 당국이 제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한 후 돈이 필요한 서민들이 차량담보대출로 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금융회사들이 저신용 서민층에 대한 대출을 의도적으로 줄이고 있다는 점도 차량담보대출 급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 의원은 "서민들이 생계수단인 택시까지 맡기고 돈을 빌릴 정도로 대출수요가 있는 상황이라면 정부가 무조건 가계부채의 총량을 규제하려는 것은 옳지 않다"며 "서민이 꼭 필요한 돈을 빌릴 수 있는 안전판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