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만년 흑자’ 조폐공사 돌연 적자 전환… 원인은?

이용섭 “MB정부 해외자원외교 사업 실패 탓”

한국조폐공사의 적자 원인이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외교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한 탓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용섭 민주당 의원이 28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흑자를 이어오던 조폐공사의 영업이익은 2011년부터 내리막을 걷기 시작해 2012년 59억9,3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상반기 적자규모만 50억7,6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조폐공사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해외자원외교의 일환으로 설립한 자회사(GDK∙Global Komsco Daewoo)의 펄프 사업실패 때문이라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GDK는 지난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를 방문한 직후 조폐공사와 대우인터내셔널의 합작으로 세워진 회사다.

GKD의 당기 순이익은 사업 시행 첫 해인 2011년 30억1,000만원의 적자를 시작으로 2012년에는 전년대비 두 배 이상인 69억2,000만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역시 상반기까지 28억8,000만원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이처럼 GKD 설립 후 현재까지 누적 손실만 128억1,000억원에 이르면서 조폐공사의 해외 면펄프 사업은 ‘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 의원은 “GDK의 사업실패는 이명박 정부의 ‘보여주기식 자원외교’가 빚어낸 결과”라며 “조폐공사 수익구조 악화의 ‘블랙홀’인 해외 면펄프 사업을 계속해야 할 것인지 정리해야 할 것인지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