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설-철강업계 철강값인상 갈등

건설업계와 철강업계가 철강재 가격인상을 둘러싸고 갈등을 보이고 있다. 30일 건설업체 구매담당자들의 모임인 건설사자재직협의회 회원 100여명은 철강업체 본사와 과천청사,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최근 철강재 가격인상에 대한 항의집회를 벌이며 가격인하를 요구했다. 건설교통부는 이에 대해 다음주 초 이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산업자원부와 협의를 한다는 방침이다. 건설사자재직협의회의 최현석 회장은 “올들어 일방적으로 이뤄진 철강업체들의 철강재 가격인상은 부당하다”며 “분양시장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업체들의 수익성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올들어 건설현장에 쓰이는 철근, 후판, H형강 등의 철강재 가격은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철근의 경우 지난해까지 톤 당 40만7,000원이던 것이 올들어 45만5,000원으로 11% 급등했고 건설용 후판도 톤 당 4만원이 올라 50만원에 육박하고 있다. 지난해 수차례의 철강가 인상이 이뤄졌던 것을 감안하면 1년 새 30% 이상의 가격인상이 이뤄진 셈이다. 특히 중국의 수요급증과 미국 경기회복으로 철강재 가격이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건설업계는 철근이 건설원가의 5% 가량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하면 철강재 가격급등으로 올해 2조원이 넘는 원가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철강업계는 국제 원자재가격의 급등에 따라 국내 철강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맞서고 있다. 대형 철근업체 관계자는 “고철 가격이 한달 새 70달러가 올라간 상황에서 철강재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며 “가격인하는 고사하고 고철 가격이 계속 올라간다면 철강가를 더욱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정배기자 ljbs@sed.co.kr>

관련기사



이정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