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내년 경제정책, 인플레 억제 최우선"

12월초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확정 예정

중국 정부는 내년도 통화정책을 기존의 확장적 국면에서 정상적 상태로 전환하는 가운데 인플레 억제를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삼을 것으로 전망됐다. 22일 중국 현지언론인 중국증권보는 국무원이 오는 12월초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확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열고 기존의 적당히 느슨한 통화정책에서 벗어나 인플레 억제에 최대 주안점을 두며 정상적인 통화정책으로 이행하는 경제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대규모로 시중에 돈을 푼데다 지난달 미국이 2차 양적완화에 나서면서 중국 등 신흥경제국의 통화팽창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며 내년도 중국 정부는 인플레 억제를 위해 긴축 통화정책으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10월 인플레는 식료품 가격 급등 여파로 4.4%를 기록하며 25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인민은행은 이에 앞서 지난 11월초 발표한 3ㆍ4분기 통화정책보고서에서 기존의 비상시에 대비한 느슨한 통화정책에서 정상적인 상태로 통화정책을 이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인민은행은 지난 10월부터 한 차례 금리인상과 두 차례 지급준비율 인상 등을 단행하며 통화긴축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다만 이번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안정적 경제성장 지속을 위해 재정확대 정책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수출에서 내수로의 전환을 본격화하는 12차 5개년 계획이 첫 시작되는 연도인 만큼 도시화 가속화 등을 위해 정부 주도의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허컹 전국인민대표대회 재정위원회 부주임은 “경제체질 전환을 위해 국민소득분배 구조를 개선해 내수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는 정책들이 추진될 것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